바로가기

모두를 위한 열린 강좌 KOCW

주메뉴

제공처별 강의

전국 203개 대학에서 제공한 19,270개의 대학 강의를 만나보세요!

부산외국어대학교 에 대한275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131. 외교정책론
    외교정책론 문서
    부산외국어대학교 손기섭 2019년 1학기
    1. 외교정책에 관한 개념, 의의, 수단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 학습함. 2. 외교정책결정에 관한 이론과 결정요인 모델 등을 학습하고 적용함. 3. 한국, 미국, 중국, 일본 등 주...
    • 차시보기
    • 강의담기

    차시리스트

    close

  • 132. 영어 읽기와 듣기 I
    영어 읽기와 듣기 I 비디오
    부산외국어대학교 송효원 2019년 1학기
    영어학부 신입생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강의이지만 영어공부를 하려는 학생이면 누구나 들을 수 있는 강의이다. 아카데믹 영어를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읽기와 듣기를 연습하는 수업이다. 대학...
    • 차시보기
    • 강의담기

    차시리스트

    close

  • 133. 영문법 활용
    영문법 활용 비디오
    부산외국어대학교 조운익 2019년 1학기
    영어를 자유롭게 말하고, 바르게 쓰며, 쉽게 듣고,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한 기본능력인 문장을 만드는 규칙과 원리를 이해하고 익혀 내재화 하는 것이다.
    • 차시보기
    • 강의담기

    차시리스트

    close

  • 134. 언어습득론
    언어습득론 비디오
    부산외국어대학교 배도용 2019년 1학기
    이 교과목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을 전공하는 학습자에게 제2언어 학습자는 정확하게 무엇을 알게 되는가?와 그 학습자는 이 지식을 어떻게 습득하는가? 그리고 어떤 학습자는 다른 학습자...
    • 차시보기
    • 강의담기

    차시리스트

    close

  • 135. 스포츠코칭론
    스포츠코칭론 문서
    부산외국어대학교 김창욱 2019년 1학기
    스포츠 코칭을 위한 지도자의 자질을 함양하고 올바른 트레이닝 방법을 배운다.
    • 차시보기
    • 강의담기

    차시리스트

    close

  • 136. 미디어로 보는 한국사회
    미디어로 보는 한국사회 비디오
    부산외국어대학교 윤희각 2019년 1학기
    이 강좌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사회에 대한 이해와 정착을 돕는 강좌이다. 다방면의 한국 사회를 이해하는데 있어 도움을 줄 수 있는 간접방법 가운데 하나는 한국의 주요 미디어를 활용해...
    • 차시보기
    • 강의담기

    차시리스트

    close

  • 137. 러시아역사기행
    러시아역사기행 비디오
    부산외국어대학교 박태성 2019년 1학기
    전공 지역으로 선택한 러시아의 지역연구 심화과정으로 역사를 학습 -우리 민족과 역사적으로 불가분의 인연을 맺고 있으므로, 우리 인적 자원이 활동해야 할 무대를 탐구 -해외 진출을 ...
    • 차시보기
    • 강의담기

    차시리스트

    close

  • 138. 기업관리실무
    기업관리실무 문서
    부산외국어대학교 육근효 2019년 1학기
    QFD(품질기능전개), TDABC(시간중심-활동기준원가관리), TOC(제약자원관리), LCC(수명주기원가계산) 등과 같은 최신 기업관리기법을 실무와 사례중심으로 학습하고 나아가 품질원...
    • 차시보기
    • 강의담기

    차시리스트

    close

  • 139. College English 1
    College English 1 문서
    부산외국어대학교 레서 2019년 1학기
    tours of Busan. Encourage Koreans and foreigners to join an English Tour of Busan. Each week, we will ...
    • 차시보기
    • 강의담기

    차시리스트

    close

  • 140. 철학으로 예술읽기
    철학으로 예술읽기 비디오
    부산외국어대학교 조창오 2018년 2학기
    보통 예술이라 하면 미술관이나 고급 콘서트장에서만 접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생각의 바탕에는 순수예술, 고급예술만이 예술이고, 대중문화에 속하는 대중예술은 예술이 아니라...
    • 차시보기
    • 강의담기

    차시리스트

    close

처음으로 이전목록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목록 마지막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