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오리엔테이션
|
오리엔테이션 |
|
2. |
|
실크로드를 통한 악무 전파의 이해
|
1. KBS 역사기행 고구려음악 대탐사 동영상 감상
2. 실크로드를 통한 고대 악무 전파 경로 이해와 유사점 파악 |
|
3. |
|
중국무용사_1
신화시대, 은주시대
|
1. 중국무용의 기원- 노동무용, 보건무용, 전투무용, 제사무용
2. 은주시대 노예사회의 무악-무무(巫舞) |
|
4. |
|
중국무용사_2
은주시대, 춘추전국시대
|
1. 은주시대 노예사회의 무악-나무(儺舞), 노예무용수, 예악제도의 수립
2. 춘추전국시대-민간가무와 여악 |
|
5. |
|
중국무용사_3
진한시대
|
1. 진나라의 중국 대통일
2. 한대의 백희와 무용-곡예, 여러가지 환술, 반고무 |
|
6. |
|
중국무용사_4
한대, 위진남북조시대
|
1. 한대의 백희와 무용-<파투무>, <건무(巾舞)>, <건고무(建鼓舞)>
2. 여러 민족의 무악이 활발히 교류된 위진남북조 시대- 구자악, 서량악
3. 청상악 속에 편입된 한대의 <파투무>, <건무(巾舞)>, <비무(鞞舞)>, <탁무(鐸舞)>, <불무(拂舞)>, <백저무(白紵舞)>, <명군무(明君舞)> |
|
7. |
|
중국무용사_5
수당시대
|
1. 남북조의 무악을 계승한 수나라-칠부악과 구부악
2. 당대(唐代)-고대 무용예술의 황금기. 십부악, 호선무, 좌부기와 입부기, 태평기악, 건무(建舞)와 연무(軟舞) |
|
8. |
|
중국무용사_6
당시대
& 인도무용_1
|
1. 당대의 건무(建舞)- <검기무>, <자지무>, <호선무>, <호등무>
2. 당대의 연무(軟舞)- <녹요무>
3. 인도무용의 형식과 전통-범아일여, 데바다시, 나티아 샤스트라, 시바신, 하스타 무드라, 라사 |
|
9. |
|
인도무용_2
& 한국무용사_1
고조선과 고구려
|
1. 인도무용 <바라타나티얌>, <까탁>
2. 고조선 단군신화와 문화
3. 상고시대의 춤- 부여의 <영고>, 고구려의 <동맹>, 예의 <무천>, 마한의 <5월제>와 <10월제>
3. 고분벽화와 문헌을 통해 삼국시대 중 고구려의 춤 찾기 |
|
10. |
|
한국무용사_2
고구려와 백제
|
1. 고구려 고분벽화의 악기- 완함, 요고, 횡적, 각, 와공후, 비파 등
2. 고구려의 춤- <호선무>
3. 백제의 미마지가 일본에 전한 <기악무>- 일본의 『교훈초』를 통해 <기악무>의 기록 살펴보기, <양주별산대놀이>와의 공통점 |
|
11. |
|
한국무용사_3
양주별산대놀이
가야와 신라시대
|
1. 일본 <기악무>와 공통점이 있는 <양주별산대놀이>의 줄거리와 인물 탐구
2. 가야 우륵의 가야금 창조와 음악, 그리고 신라 망명
3. 신라의 가야 악무 흡수
4. 신라의 골품제도 |
|
12. |
|
한국무용사_4
통일신라와 고려
|
1. 신라의 춤- <상염무>, <무애무>, <처용무>, 최치원의 <향악잡영 5수>
2. 신라에 왔던 아랍인들
3. 신라의 몰락
4. 고려의 당악정재와 향악정재 |
|
13. |
|
1. 중국무용사_1
|
|
|
14. |
|
2. 중국무용사_2
|
|
|
15. |
|
3. 중국무용사_3
|
|
|
|
|
4. 중국무용사_4
|
|
|
|
|
5. 인도무용사
|
|
|
|
|
6. 한국무용사-1
|
|
|
|
|
7. 한국무용사-2
|
|
|
|
|
8. 한국무용사-3
|
|
|
|
|
9. 한국무용사-4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