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오리엔테이션, 교육과 교육학
|
본 과목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받고, 교육의 기본양식과 교육학의 학문적 구조를 학습한다. |
|
2. |
|
교육의 인간학적 이해
|
인류의 탄생과 인간형성과 교육을 학습한다 |
|
3. |
|
교육의 역사철학적 접근
|
시간의 흐름과 교육 그리고 교육의 철학적 이해를 학습한다. |
|
4. |
|
교육의 심리적 기초
|
학습자관, 유전과 환경, 지적 특성과 교육, 정의적 특성과 교육, 인간발달을 학습한다. |
|
5. |
|
교육의 사회적 기초
|
교육에 대한 사회적 접근의 필요성, 교육에서의 사회적 패러다임을 학습한다. |
|
6. |
|
교육의 과정 I
|
교육목표의 설정, 교육과정을 학습한다 |
|
7. |
|
교육의 과정 II
|
교수-학습, 교육평가을 학습한다. |
|
8. |
|
교육공학의 이해 I
|
교육공학의 정의와 영역, 교수설계를 학습한다. |
|
9. |
|
교육공학의 이해 II
|
교수매체,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을 학습한다. |
|
10. |
|
생활지도와 상담
|
생활지도의 개념과 원리, 생활지도의 활동과 내용, 상담활동, 사이버상담을 학습한다. |
|
11. |
|
교육과 행정제도
|
교육의 이념과 문화, 교육행정의 거시적 차원, 교육행정의 중간수준 차원, 교육육행정의 미시적 차원을 학습한다. |
|
12. |
|
교사론
|
교사와 교직, 교원양성과 교원평가, 새로운 교육자상의 탐구를 학습한다. |
|
13. |
|
가정교육과 청소년교육
|
가정과 가정교육, 가정교육의 문제점과 발전과제, 청소년교육을 학습한다. |
|
14. |
|
학교교육과 대안교육
|
학교의 역사와 특질, 학교교육에 대한 재고, 대안학교와 대안교육을 학습한다. |
|
15. |
|
지식기반사회와 평생교육
|
지식기반사회와 교육체제의 재구조화, 평생교육의 개념, 평생교육의 의의, 평생교육의 발전과제를 학습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