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경영정보시스템 강좌의 구성 |
강의 주제 구성 및 강의일정, 주요 정책 등을 설명 |
|
2. |
|
주제1: 경영환경 변화의 이해 |
성과의 근원과 성과의 작동원리, 변화를 읽는 힘 등 사회과학도가 갖춰야 할 기본 소양 설명 |
|
|
|
주제1: 경영환경 변화의 이해 |
블루오션, 디지털, 지식정보 등 최근 환경변화를 대변하는 수사의 공통점과 그에 대응하기 위한 학습의 기존조건을 논의 |
|
3. |
|
주제2: 경영세계관의 진화과정 |
1900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4세대의 경영세계관의 진화과정과 각 세대에서의 특징을 논의함 |
|
|
|
주제2: 경영세계관의 진화과정 |
제3세대에 이어 현대 경영세계관인 제4세대 경영의 차별적 특성을 논의하고 그 중에 있는 창조의 본질을 설명함 |
|
4. |
|
주제3: 정보의 특성과 정보화 |
정보의 특성을 4개지로 집약하여 그 시사점을 개인적 차원과 조직적 차원에서 논의함 |
|
|
|
주제3: 정보의 특성과 정보화 |
정보화과정에서 전형적으로나타나는 사회적 현상과 정책적 시사점, 변화의 두가지 세계관을 포괄한 공진화의 원리를 논의함 |
|
5. |
|
주제4: 시스템의 본질과 시사점 |
시스템의 정의와 이면의 시사점, 시스템의 특성을 구조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각각을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논의함 |
|
|
|
주제4: 시스템의 본질과 시사점 |
복잡성과 제어점, 인터페이스의 유형, 피드백, 효율과 효과 등 시스템의 주요개념과 정보기술의 역할을 살펴보고 다양한 관점에 따른 시스템의 분류를 살펴봄. |
|
6. |
|
주제5: 경영정보시스템의 관점 변화(관리적 관점) |
경영정보시스템의 정의, 분류, 경영학으로서의 MIS 등에 관한 사항 등을 전통적 관리시각에서 논의함 |
|
|
|
주제5: 경영정보시스템의 관점 변화(전략적 관점) |
IT/IS의 전략적 활용배경, IT/IS의 전략기회 포착틀, IT/IS의 전략적 활용사례, 전략정보시스템의 유형과 합치모형 |
|
7. |
|
주제6: 디지털경제와 인터넷의 사회화 |
수확체증경제, 가상공간경제, 지식기반경제, 수평경영경제 등 사이버공간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경제적 현상을 중심으로 디지털경제의 차별적 특성을 논의함 |
|
|
|
주제6: 디지털경제와 인터넷의 사회화 |
인터넷의 사회화가 진전됨에 따라 등장한 소셜미디어와 기존의 매스미디어의 차이를 규명하고, 이로부터 나타나는 세가지 경제적 현상 -긴꼬리경제, 관심경제, 집단지성경제 등을 논의함 |
|
8. |
|
주제7: 프로세스 혁신과 정보시스템의 역할 |
경영프로세스 혁신의 배경 및 필요성, 두 가지 접근방식. 그리고 BPR에서의 IT/IS의 역할에 대해 논의함 |
|
|
|
주제7: 프로세스 혁신과 정보시스템의 역할 |
인터넷을 핵심수단으로한 기업간 프로세스 연동으로 나타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응용 사례(프로세스 확장, 강화, 역류, 분해, 통합 등)를 살펴봄 |
|
9. |
|
주제8: 전사자원관리시스템(ERP) |
ERP의 태동배경과 기본개념, ERP의 전형, 프로세스 혁신에서 ERP의 역할과 위상, ERP시스템의 특징과 효과, 도입 시 고려사항 등 ERP 주요 이슈에 대해 논의함 |
|
|
|
주제8: 전사자원관리시스템(ERP) |
ERP의 태동배경과 기본개념, ERP의 전형, 프로세스 혁신에서 ERP의 역할과 위상, ERP시스템의 특징과 효과, 도입 시 고려사항 등 ERP 주요 이슈에 대해 논의함 |
|
10. |
|
주제9: 지식경영시스템 (KMS) |
지식의 본질 및 정의 게티어 문제, 지식의 두가지 유형, 지식성장 프로세스, SECI 모델, Ba 개념 및 유형, MUD 프로세스 지식 및 지식형성과정을 중심으로 지식의 전반을 논의함 |
|
|
|
주제9: 지식경영시스템 (KMS) |
지식경영의 태동배경 및 목적, 지식경영의 두가지 관점, 지식경영의 진화과정 등에 관한 주요 이슈를 살펴보고 그시사점을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논의함 |
|
11. |
|
주제10: 고객관계관리시스템 (e-CRM) |
기본으로 돌아가서 본 주제의 3대 키워드인 고객, 관계, 관리에 대한 핵심 개념의 이해와 CRM 세계관의 진화와 최근 CRM의 동향, 핵심 가능수단으로서의 데이터마닝 저변의 사상등을 살펴봄 |
|
|
|
주제10: 고객관계관리시스템 (e-CRM) |
기본으로 돌아가서 본 주제의 3대 키워드인 고객, 관계, 관리에 대한 핵심 개념의 이해와 CRM 세계관의 진화와 최근 CRM의 동향, 핵심 가능수단으로서의 데이터마닝 저변의 사상등을 살펴봄 |
|
12. |
|
주제11: 공급사슬관리시스템 (e-SCM) |
공급사슬의 정의와 이를 관리해야 하는 이유 및 목적, 그리고 공급사실으에서 나타나는 소채찍효과 등을 설명하고 SCM의 대표적 핵심 수단인 자동발주시스템(CAO), 자동보충시스템(CR), 공급자재고관리(VMI) 등의 논의함. 아울러 수요사슬과 공급사슬을 연동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시된 핵심 개념인 OPP, VOP를 논의함 |
|
|
|
주제11: 공급사슬관리시스템 (e-SCM) |
공급사슬의 정의와 이를 관리해야 하는 이유 및 목적, 그리고 공급사실으에서 나타나는 소채찍효과 등을 설명하고 SCM의 대표적 핵심 수단인 자동발주시스템(CAO), 자동보충시스템(CR), 공급자재고관리(VMI) 등의 논의함. 아울러 수요사슬과 공급사슬을 연동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시된 핵심 개념인 OPP, VOP를 논의함 |
|
13. |
|
주제12: 정보자원관리 (IRM) |
고전적 정보자원관리 모델인 놀란의 정보시스템 성장단계모형을 살펴보고, 전사 아키텍처(5계층 참조모델)를 중심으로 계층별 관리상의 주요 이슈들을 논의함. 아울러 IT/IS 아웃소싱에 대한 설명을 추가함. |
|
|
|
주제12: 정보자원관리 (IRM) |
고전적 정보자원관리 모델인 놀란의 정보시스템 성장단계모형을 살펴보고, 전사 아키텍처(5계층 참조모델)를 중심으로 계층별 관리상의 주요 이슈들을 논의함. 아울러 IT/IS 아웃소싱에 대한 설명을 추가함. |
|
14. |
|
주제13: 변화의 새로운 동인 (I.C.B.M) |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서비스(Cloud), 빅데이터(Big Data), 이동 단말(Mobile Device) 등 최근 사회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네 가지 신기술에 대해 저변의 사상과 사회적 시사점을 살펴봄 |
|
|
|
주제13: 변화의 새로운 동인 (I.C.B.M) |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서비스(Cloud), 빅데이터(Big Data), 이동 단말(Mobile Device) 등 최근 사회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네 가지 신기술에 대해 저변의 사상과 사회적 시사점을 살펴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