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1장 국어과 수업 관련 주요 용어 및 개념
|
국어과 수업 주요 개념,
수업 교수 학습,
국어과 교수, 학습 모형,
시네틱스,
여섯 색깔 모자 기법 |
|
2. |
|
2장 다양한 교수 학습 모형
|
중학교 수업 사례 (classroom.re.kr) |
|
3. |
|
3장 국어과 수업 설계의 원리
|
수업설계사례-Think Aloud |
|
4. |
|
12장 국어과 수업의 계획과 평가
|
교수 학습 과정안의 설계와 작성,
과정안이 갖추어야 할 요건교수, 학습 과정안의 형식 |
|
5. |
|
4장 교재와 수업1
|
좋은 수업의 요건,
교재의 종류 |
|
6. |
|
4장 교재와 수업2
|
교재분석하기 |
|
7. |
|
교실대화분석을 통한 바람직한 교사 화법 분석
|
교실 대화 분석,
바람직한 교사 화법의 제안 |
|
8. |
|
5장 듣기 말하기 교수학습방법
|
듣기 말하기 수업의 특성, 상황,
교수학습 유형,
수업준비의 유의점,
단계별 듣기 활동 중심의 말하기,
토론을 위한 말하기 듣기 수업 |
|
9. |
|
6장 읽기 교수 학습 방법
|
읽기 교육의 원리,
수업준비의 유의점,
기능 중심 읽기 수업,
의미 중심 읽기 수업,
주제 중심 읽기 수업 |
|
10. |
|
7장 쓰기 교수 학습 방법
|
과정중심 쓰기 지도,
협의 중심 쓰기 지도,
수업준비의 유의점,
직접교수법을 적용한 쓰기 전략과 기능지도 수업,
쓰기 워크샵 활동, 출판프로젝트 |
|
11. |
|
9장 문학 교수 학습 방법
|
특성과 방향,
반응과 대화를 중심으로 한 교수학습,
수업준비의 유의점,
반응중심 문학수업, 대화중심 문학수업, 문학감상 프로그램 |
|
12. |
|
10장 문화 매체 문식성 교수 학습 방법
|
유형과 수업을 위한 고려,
수업준비의 유의점,
비교매체 수업, 스토리텔링 수업, 매체 제작 프로젝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