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세계화의 개념 이해 | 세계화 현상 수강생 각자 자신의 삶 속에서 어떻게 경험되는가? 라는 질문을 던지고, 세계화 개념의 의미를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본다. | ||
2. | 세계시민성 개념의 이해 | 세계 도처에서 여러 가지 다른 명칭으로 불러지고 있는 세계시민교육 개념의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세계시민성 용어의 뜻과 세계화 시대 요구되는 자질을 살펴본다. | ||
3. | 지속가능개발목표와 세계시민교육 | 성장중심의 경제주의가 오늘날의 지배적 발전 패러다임이었는데, 그에 따른 각종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개념이 등장하였고 이 개념의 뜻을 파악할 수 있다. | ||
4. | 포스트 식민주의 관점 | 포스트식민주의 관점의 특징을 알 수 있고, ‘문화’와 ‘정체성’을 새롭게 본다. | ||
5. | 유럽 난민 정책을 통해 본 세계시민교육 | 유럽 난민 정책의 역사를 알아보고 최근 독일 사회의 난민 대응을 살펴본다. | ||
6. | 인권교육 | 인권의 정의와 인권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인권교육의 세 가지 방향을 다루고 학교에서 일어나는 인권문제나 학부모, 교사, 학생이 요구하는 인권문제를 고민해보고 학교 현장에서 인권교육 활동의 예를 비교 ·분석해본다. | ||
7. | 다양성에 관한 담론 | 차별의 다양한 형태를 알아보고 차이의 인정과 권력의 밀접한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 ||
8. | 독서퀴즈 | 배경지식을 퀴즈로 쌓은 후 칼럼을 읽고 난 후 자신의 생각과 자신의 소비패턴을 되돌아보고 ‘착한 소비’란 무엇인지 논의해본다. | ||
9. | 독일 정치교육 | 독일의 학교 안과 밖 정치교육 | ||
10. | 양성평등 교육과 평화교육 | 평등과 차이에 대한 감수성을 키우기 위해 성과 관련된 차별을 찾아보고 정의실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본다. | ||
11. | 세계시민교육과 교차성의 접근 | 세계시민교육을 교차성의 접근방안을 적용해서 차이에 민감성을 키울 수 있다. | ||
12. | 세계시민교육의 프로그램 | 반편견 교육와 인권교육 활동의 예를 비교, 분석해본다. | ||
13. | 세계시민교육의 방법 | 세계시민으로서 요구되는 자질과 시민성 교육방법을 살펴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