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
강의소개; 왜 민주주의인가? | 1. 왜 민주주의인가? 2. 아일랜드의 비극과 민주주의 | ![]() |
2. | ![]() |
고대 민주주의의 등장과 한계 1 | 1. 민주주의의 어원 2. 고대 아테네 민주주의 | ![]() |
3. | ![]() |
고대 민주주의의 등장과 한계 2 | 1. 아테네 민주주의의 운영제도 2. 로마 공화정 | ![]() |
4. | ![]() |
근대 민주주의의 서막 1 | 1. 고대 민주주의 리뷰 2. 근대 민주주의의 서막: 미국혁명 | ![]() |
5. | ![]() |
근대 민주주의의 서막 2 | 1. 새로운 정체의 모색 2. 미국 공화제의 운영기제 | ![]() |
6. | ![]() |
근대 민주주의의 확립 1 | 1. 선거 기제의 의미 2. 보통 선거권의 쟁취 1 | ![]() |
7. | ![]() |
근대 민주주의의 확립 2 | 1. 보통 선거권의 쟁취 2 2. 근대 민주주의의 확립과 부르주아 | ![]() |
8. | ![]() |
민주주의의 확산과 도전 1 | 1. 민주화의 역사적 추세 2. 민주주의 이행이론 1 | ![]() |
9. | ![]() |
민주주의의 확산과 도전 2 | 1. 민주주의 이행이론 2 | ![]() |
10. | ![]() |
민주주의 제도의 탐색 1 | 1. 권력구조란? 2. 대통령제 3. 의회제 | ![]() |
11. | ![]() |
민주주의 제도의 탐색 2 | 1. 아시아/중남미에 불어닥친 변화 2. 린츠의 대통령제 비판 3. 메인웨어링의 린츠 주장 비판 | ![]() |
12. | ![]() |
민주주의 제도의 탐색 3 | 1. 선거제도란 2. 선거제도의 유형 3. 선거제도의 제도적 경향성 4. 선거제도와 정부정책 | ![]() |
13. | ![]() |
사회갈등과 민주주의 | 1. 사회갈등의 중요성 2. 사회갈등의 조정과 민주주의 3. 사회갈등의 조정과 선거제도 | ![]() |
14. | ![]() |
세계화와 불평등, 그리고 민주주의 | 1. 불평등의 실태와 의미 2. 자본주의와 불평등의 역사 3. 신자유주의, 세계화, 그리고 민주주의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