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양명학의 전래
|
조선에 양명학이 전래된 시기에 대해 살핀다. |
|
2. |
|
전래 초기 양명학 수용 학자(1)
|
남언경, 이요, 허균의 양명학적 특성에 대해 살핀다. |
|
3. |
|
전래 초기 양명학 수용 학자(2)
|
이수광, 조익의 양명학적 특성에 대해 살핀다. |
|
4. |
|
이황의 양명학 비판
|
이황의 양명학 비판 요지와 문제점에 대해 살핀다. |
|
5. |
|
장유의 양명학
|
장유의 교조주의 비판과 주체적 학문관의 특징에 대해 살핀다. |
|
6. |
|
최명길의 양명학
|
최명길이 주화론을 주장한 이유와 의의에 대해 살핀다. |
|
7. |
|
정제두의 철학사상(1)
|
정제두의 생애와 이기론에 대해 살핀다. |
|
8. |
|
정제두의 철학사상(2)
|
정제두의 심선론, 양지론과 지행합일설에 대해 살핀다. |
|
9. |
|
정제두의 사회사상
|
정제두의 근대지향적인 사회사상의 특징에 대해 살핀다. |
|
10. |
|
강화학파의 양명학
|
강화학파 양명학자들의 실심의 양명학에 대해 살핀다. |
|
11. |
|
박은식의 양명학
|
박은식의 근대지향적 성격과, 대동사회 이념 및 사해동포주의에 대해 살핀다. |
|
12. |
|
정인보의 양명학
|
정인보의 양명학, 자타가 하나 됨의 양지철학에 대해 살핀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