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I. Introduction
|
강의 소개 I |
|
2. |
|
I. Introduction, II. Social Change in Korea: An overview (1)
|
1. 강의 소개 II
2. 한국 사회의 변화 개괄 : 1) 한국 역사 개괄 2) 핵심어로 보는 한국 사회 변화의 주요 특징 3) 한국 사회 변화의 추동력 |
|
|
|
I. Introduction, II. Social Change in Korea: An overview (1)
|
1. 강의 소개 II
2. 한국 사회의 변화 개괄 : 1) 한국 역사 개괄 2) 핵심어로 보는 한국 사회 변화의 주요 특징 3) 한국 사회 변화의 추동력 |
|
3. |
|
II. Social Change in Korea: An overview (2), III. Who are Koreans?: History and culture (1)
|
1. 한국 사회의 변화 개괄. 2) 핵심어로 보는한국 사회 변화의 주요 특징 3) 한국 사회 변화의 추동력 4) 통계수치로 보는 한국 사회의 변화
2. 비무장지대에 관한 DVD 시청을 통해 한국 사회의 변화를 이해
3. 한국인이란 누구인가? : 1) 한국인에 대한 판단 지표들
3. <강남 스타일> 뮤직비디오를 통해 한국의 문화를 이해 |
|
|
|
II. Social Change in Korea: An overview (2), III. Who are Koreans?: History and culture (1) |
※교수자 및 학교(기관)의 사정으로 인해 서비스 중지된 차시입니다. |
|
4. |
|
III. Who are Koreans?: History and culture (2) IV. Political Economy of Development (1)
|
1. 한국인이란 누구인가? : 1) 한국인에 대한 판단 지표들 2) 한국 문화의 일반적 특징들(신유교주의, 샤머니즘, 한국 문화의 현대화/서구화, 한류)
2. 발전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분석 : 1) 발전의 연대기 |
|
|
|
III. Who are Koreans?: History and culture (2) IV. Political Economy of Development (1)
|
1. 한국인이란 누구인가? : 1) 한국인에 대한 판단 지표들 2) 한국 문화의 일반적 특징들(신유교주의, 샤머니즘, 한국 문화의 현대화/서구화, 한류)
2. 발전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분석 : 1) 발전의 연대기 |
|
5. |
|
IV. Political Economy of Development (2), V. Population Changes (1)
|
1. 발전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분석 : 1) 발전의 연대기 2) 경제적 성공의 요인들
2. 인구 변화 : 1) 인구 성장률 감소 및 전체 인구의 잠재적 감소 2) 성비의 변화 3) 기대수명의 증가 |
|
|
|
IV. Political Economy of Development (2), V. Population Changes (1)
|
1. 발전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분석 : 1) 발전의 연대기 2) 경제적 성공의 요인들
2. 인구 변화 : 1) 인구 성장률 감소 및 전체 인구의 잠재적 감소 2) 성비의 변화 3) 기대수명의 증가 |
|
|
|
V. Population Changes (2)
|
2. 인구 변화 : 1) 인구 성장률 감소 및 전체 인구의 잠재적 감소 2) 성비의 변화 3) 기대수명의 증가 4) 출산율의 감소 |
|
6. |
|
V. Population Changes (2)
|
2. 인구 변화 : 1) 인구 성장률 감소 및 전체 인구의 잠재적 감소 2) 성비의 변화 3) 기대수명의 증가 4) 출산율의 감소 |
|
|
|
V. Population Changes (3), VI. Environmental Issues (1)
|
1. 인구 변화 : 4) 출산율의 감소 5) 고령화
2. 환경 문제 : 1) 발전주의 2) 환경 문제의 메커니즘 3) 지속가능한 에너지 4) 대기오염 |
|
7. |
|
V. Population Changes (3), VI. Environmental Issues (1)
|
1. 인구 변화 : 4) 출산율의 감소 5) 고령화
2. 환경 문제 : 1) 발전주의 2) 환경 문제의 메커니즘 3) 지속가능한 에너지 4) 대기오염 |
|
|
|
VI. Environmental Issues (2), VII. Marriage, Family and Women (1)
|
1. 환경 문제 : 4) 대기오염과 기후변화 5) 핵에너지 문제
2. 결혼, 가족, 여성 : 1) 결혼에 관한 태도 설문조사 |
|
8. |
|
VI. Environmental Issues (2), VII. Marriage, Family and Women (1)
|
1. 환경 문제 : 4) 대기오염과 기후변화 5) 핵에너지 문제
2. 결혼, 가족, 여성 : 1) 결혼에 관한 태도 설문조사 |
|
|
|
VII. Marriage, Family and Women (2)
|
결혼, 가족, 여성 : 2) 기본 개념 3) 가족 유형의 세계적 변화 4) 가족의 가치 5) 가족 형태의 변화(기러기 가족) 6) 혼인율 7) 동거율 8) 결혼 유형 9) 결혼의 연령별 비율 |
|
9. |
|
VII. Marriage, Family and Women (2)
|
결혼, 가족, 여성 : 2) 기본 개념 3) 가족 유형의 세계적 변화 4) 가족의 가치 5) 가족 형태의 변화(기러기 가족) 6) 혼인율 7) 동거율 8) 결혼 유형 9) 결혼의 연령별 비율 |
|
|
|
VII. Marriage, Family and Women (3)
|
결혼, 가족, 여성 : 9) 결혼의 연령별 비율 10) 혼인 연령 11) 국제 결혼 12) 가족관계등록제 13) 이혼 |
|
10. |
|
VII. Marriage, Family and Women (3)
|
Marriage, family, female 9) Marriage age rate 10) Marriage age 11) International marriage 12) Family relation registration 13) Divorce |
|
|
|
Special Lecture: Multiculturalism in South Korea II
|
한국 다문화주의의 발전과 특징에 관한 특강(고려대학교 사회학과 윤인진 교수) |
|
11. |
|
Special Lecture: Multiculturalism in South Korea I
|
한국 다문화주의의 발전과 특징에 관한 특강(고려대학교 사회학과 윤인진 교수) |
|
12. |
|
VII. Marriage, Family and Women (3), VIII. Agriculture and Food, IX. Conclusion
|
1. 결혼, 가족, 여성 : 14) 현재의 한국 가족 15) 성불평등
2. 농업과 식량 : 1) 인기있는 한국 음식 2) 김치 3) 짜장면 4) 라면 5) 부대찌개 6) 식량소비의 변화 7) 비만 8) 패스트푸드 9) 식량자급률
3. 결론 |
|
|
|
VII. Marriage, Family and Women (3), VIII. Agriculture and Food, IX. Conclusion
|
1. 결혼, 가족, 여성 : 14) 현재의 한국 가족 15) 성불평등
2. 농업과 식량 : 1) 인기있는 한국 음식 2) 김치 3) 짜장면 4) 라면 5) 부대찌개 6) 식량소비의 변화 7) 비만 8) 패스트푸드 9) 식량자급률
3. 결론 |
|
13. |
|
* Presentation of Students’ Research Results (Group 1, 2, 3, 5, 6)
|
한국 사회와 문화에 대한 조사(팀 프로젝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