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제분류
- 인문과학 >인문과학기타 >인문학
-
- 등록일자
- 2012.03.28
불교와 더불어 한국전통사상의 대표적인 한 축을 이루는 한국유학은 그본래의 정치,도덕(예)사상을 이땅에서 오랜 역사에 걸쳐 실현하였다. 그점은 특히 조선시대에 신유학이라고 하던 성리학이 정치와 도덕의 측면으로 막강하게 영향을 끼쳤던 사실로 해서 일반인들에게도 널리 인지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일반적 인지와는 거리가 멀게 조선시대 성리학이 지닌 윤리적 측면의 깊은 도덕철학의 내용과 성격은 아직까지 명료하게 밝혀진 적이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성리학에 이어 발홍한 실학의 경우도 사정은 이와 마찬가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