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1-1.한국 고전문학의 범위와 갈래
|
|
 |
|
 |
1-2.한국 고전문학의 시대구분
|
|
 |
2. |
 |
2-1.원시문학
|
|
 |
|
 |
2-2.고대문학 - 건국신화
|
|
 |
|
 |
2-3.고대문학-고대설화․고대가요
|
|
 |
3. |
 |
3-1.삼국 시대의 문학
|
|
 |
|
 |
3-2.향가 문학
|
|
 |
|
 |
3-3.불교문학과 남북극 시대 문학
|
|
 |
4. |
 |
4-1.고려 전기의 산문문학
|
|
 |
|
 |
4-2.고려 전기의 시가문학
|
|
 |
5. |
 |
5-2.고려 후기의 시가문학
|
|
 |
|
 |
5-1.고려 후기의 산문문학
|
|
 |
6. |
 |
6-1.관인문학과 사림문학
|
|
 |
|
 |
6-2.훈민정음 반포와 언해 문학
|
|
 |
|
 |
6-3.교술시가(악장·경기체가)의 모습
|
|
 |
7. |
 |
7-1.방외인 문학
|
|
 |
|
 |
7-2.한문산문의 영역 확대-잡기․잡록
|
|
 |
|
 |
7-3.조선전기 시조와 가사 문학
|
|
 |
8. |
 |
8-1.소설의 출현-전기(傳奇)소설
|
|
 |
|
 |
8-2.한문소설의 발달-전계(傳系) 소설·몽유록계 소설·천군 소설
|
|
 |
|
 |
8-3.조선전기 연희의 양상과 연극
|
|
 |
9. |
 |
9-1.임․병 양란과 실기문학
|
|
 |
|
 |
9-2.전통 한문학의 동요와 지속
|
|
 |
|
 |
9-3.소설 시대로 들어서는 전환
|
|
 |
10. |
 |
10-1.문학론(문학비평)과 실학파 문학
|
|
 |
|
 |
10-2.문학담당층의 확대 1 - 중인(위항인)문학
|
|
 |
|
 |
10-3.문학담당층의 확대 2 - 여성문학
|
|
 |
11. |
 |
11-1.조선후기 시조문학과 사설시조
|
|
 |
|
 |
11-2.조선후기 가사문학과 잡가
|
|
 |
|
 |
11-3.불교․천주교․도교 문학
|
|
 |
12. |
 |
12-1.조선후기 국문소설의 발달
|
|
 |
|
 |
12-2.야담(한문단편)과 한문장편소설
|
|
 |
|
 |
12-3.한문수필․국문수필
|
|
 |
13. |
 |
13-1.하층문학과 상층문학의 교섭
|
|
 |
|
 |
13-2.판소리의 형성과 발전
|
|
 |
|
 |
13-3.민속극(탈춤, 인형극)의 성행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