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한국음악과문화 1주차 |
강의안내, 한국음악의 범주 |
|
2. |
|
한국음악과문화 2주차 1차시 |
궁중 의례와 음악제도
- 궁중 음악 기록물과 기록의 의미 |
|
|
|
한국음악과문화 2주차 2차시 |
궁중 악무의 실현
- 종묘제례악과 수제천등 |
|
3. |
|
한국음악과문화 3주차 1차시 |
선비들의 음악문화와 예도적 풍류
-거문고 회상 |
|
|
|
한국음악과문화 3주차 2차시 |
시정 부상층의 풍류
- 여창 가곡과 세악합주 |
|
4. |
|
한국음악과문화 4주차 1차시 |
판소리와 기층음악
(민요와 무속음악) |
|
|
|
한국음악과문화 4주차 2차시 |
판소리의 역사와 유파 |
|
5. |
|
한국음악과문화 5주차 1차시 |
근대 국안
-근대 극장과 전통음악
-판소리,창극,병창 |
|
|
|
한국음악과문화 5주차 2차시 |
시민 취향과 잡가 (통속가) |
|
6. |
|
한국음악과문화 6주차 1차시 |
창작국악과 현대 사회
-엘리트 음악가들의 창작활동 |
|
|
|
한국음악과문화 6주차 2차시 |
일상의 국악
-지하철 신호음, 대중음악과의 결합 |
|
7. |
|
한국음악과문화 7주차 1차시 |
양악의 시작과 고종 황제의 악대
-양악대의 등장 |
|
|
|
한국음악과문화 7주차 2차시 |
국민시민의 부상과 새로운 노래양식
-창가와 가곡 |
|
9. |
|
한국음악과문화 9주차 1차시 |
한국의 근대화와 양악
-학교 창가 교육과 통속 창가 가창,
찬송가 |
|
|
|
한국음악과문화 9주차 2차시 |
K-클래식과 한국음악가
-한국전쟁 이후 한국 클래식의 변화 |
|
10. |
|
한국음악과문화 10주차 1차시 |
분단 직후 북한의 음악
-월북 음악가와 창작 위주의 음악계 |
|
|
|
한국음악과문화 10주차 2차시 |
북한의 주체음악
-김정은 부상과 이념적 음악의 고착화 |
|
11. |
|
한국음악과문화 11주차 1차시 |
미디어 대중음악의 시작
-음반, 방송과 음악 |
|
|
|
한국음악과문화 11주차 2차시 |
한국 전쟁 후 미국식 대중음악의 수용-영미팝의 영향과 한국사회 |
|
12. |
|
한국음악과문화 12주차 1차시 |
80년대 사회 변화와 세대 교체
-발라드와 댄스뮤직 경제 성장과 민주화 |
|
|
|
한국음악과문화 12주차 2차시 |
청소년 문화의 부상과 저항의 노래
-서태지와 아이들, 한국가요의 양식변화 |
|
13. |
|
한국음악과문화 13주차 1차시 |
IDOL문화의 성장과 기획사 음악
-음악 시장의 성장과 음악 |
|
|
|
한국음악과문화 13주차 2차시 |
K-POP의 성장과 BTS현상
-영미팝의 패권 균열과 한국음악의 성장 |
|
14. |
|
한국음악과문화 14주차 1차시 |
도시화의 심화와 하위 음악의 등장
-버밍엄 학파의 문화론과 서브컬처론 |
|
|
|
한국음악과문화 14주차 2차시 |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인디씬의 특징
-3세대 인디씬과 한국사회의 변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