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
바나나와 원숭이 | 모든 것을 등가교환으로 생각하고 보상이 주어지지 않으면 움직이지 않는 요즘 학생들의 실태를 고발하기 위해 '도구적 합리성'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설명함 | ![]() |
2. | ![]() |
소유로서의 배움과 존재로서의 배움은 어떻게 다른가? | 에리히 프롬의 저서 <소유냐 존재냐>에 기초해서 소유로서의 배움을 생각하는 학생들을 어떤 태도를 갖고 수업에 임하는지, 반면에 존재로서의 배움을 생각하는 학생들은 어떤 태도를 갖고 수업에 임하는지를 고찰 | ![]() |
3. | ![]() |
길들기란 무엇인가? | 학교, 병원, 회사, 학술공동체와 같은 제도적 공간에서 길들어가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영화 <쇼생크 탈출>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토대로 분석함 | ![]() |
4. | ![]() |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 벨기에의 화가 작품은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라는 작품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라는 언명이 무엇이 문제이고 그 언명대신 '믿는 것이 보는 것이다'라는 언명을 우리가 왜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하는지에 대한 고찰 | ![]() |
5. | ![]() |
알코올중독에 대한 인식의 변화 | 현대에서 우리가 생각하는 알코울 중독에 대한 이미지는 무엇인가? 우리는 알코올 중독에 대해서 보통은 '치료의 대상'이라고 생각하기 십상이다. 그런데 이 '치료의 대상'으로서의 알코올 중독이 영원불멸의 생각이었는가를 중세 프랑스에서 알코올 중독을 어떻게 다루었는지에 대한 탐구를 통해서 의심해 보는 작업 | ![]() |
6. | ![]() |
반칙을 부추기는 사회 | 강자위주, 1%와 99%의 양극화 시대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을 <반칙을 부추기는 사회>라는 언명을 통해서 어떻게 분석하고 고찰할 수 있는지에 대한 토의 | ![]() |
7. | ![]() |
올리버트위스트로 보는 사회적 구성주의 | 언어론적 전회(Linguistic Turn) 이후에 새롭게 대두한 언어관, 세계관에 대한 변혁을 가져온 '사회적 구성주의'라는 인간철학에 기초해서 아동이라는 존재는 우리가 지금 생각하고 있는것처럼 '보호의 대상'인가에 의문을 제기하고 올리버트위스트 시대의 아동관에 대해서 고찰함 | ![]() |
8. | ![]() |
닥터진 분석 | 2009년에 살고 있는 닥터진이라는 뇌외과의사가 1862년 에도시대로 타임슬립을 통해서 돌아가서 일어나는 일을 그린 드라마를 통해서 '수술을 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수행 | ![]() |
9. | ![]() |
비고츠키 심리학 탐구하기 1 | 비고츠키 심리학은 주류심리학과 어떤 다른 인간관, 언어관, 세계관을 갖고 있는지 그리고 그렇게 다른 인간관, 언어관, 세계관을 갖고 세상을 바라보면 무엇이 달라보이는지에 대한 탐구 | ![]() |
10. | ![]() |
비고츠키심리학 탐구하기 2 | 비고츠키 심리학이 주류심리학과 달리 강조하는 개인과 사회를 깨끗이 나누는 것에 대한 안티테제로서 들고 있는 매개의 개념을 '매창이라는 조선시대 기생에게 천리가 어떻게 보였을까?라는 소박한 물음을 던지면서 탐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