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의 소개 / 역사의 의미와 개념 | 1. 역사의 어원과 의미 2. 역사의 개념과 의미 3. 역사의 세 의미 |
||
2. | 역사연구의 범위와 대상 I: 역사와 인간 | 1. 역사는 인간의 전유물인가? 2. 모든 존재는 역사의 대상이다. 3. 역사는 인간에게만 존재한다. |
||
3. | 역사연구의 범위와 대상 II: 의식과 역사 / 역사의 교훈성 | 1. 역사교육의 목적 2. 의식과 역사 : 역사의식의 문제 3. 역사의 교훈성 |
||
4. | 사료의 의미와 비판 | 1. 사료와 역사학 2. 사료의 종류 3. 사료비판의 문제 4. 정리 |
||
5. | 시대구분의 효용과 한계 | 1. 역사는 시간속에 변화를 추적하는 학문 2. 시간의 흐름은 중단없이 이어지는 것 3. 역사의 시기를 물리적으로 나누는 것은 불가능 4. 역사 시기 구분과 한계에 대하여 학습 |
||
6. | 역사적 사실과 객관의 문제 I: 역사적 사실의 문제 | 1. 지금까지는 역사에 대해 포괄적으로 논의 2. 역사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문제들을 논의 3. 과거 역사적 사실이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 - 역사적 사실의 존재 유무 -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인식론적 접근 - 역사에서의 사실이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 |
||
7. | 역사적 사실과 객관의 문제 II: 역사인식의 객관성과 주관성 | 1. 과거의 사실들을 규명할 수 있는가? 2. 역사의 사실들을 그대로 서술할 수 있는가? 3. 역사학의 이상이라 하는 것은 과거를 복하는 것, 과연 가능한가? 4. 불가능 하다면 어떠한 문제가 남는가? |
||
8. | 중간고사 | |||
9. | 역사연구의 문제 I: 과학적 역사학의 논리와 한계 | 1. 역사연구의 문제 2. 과학적 역사 설명의 논리 3. 과학적 역사설명의 근본문제 4. 역사적 설명의 유형 |
||
10. | 역사연구의 문제 II: 관념론적 역사 이해의 문제 | 1. 설명과 이해 2. 역사적 이해의 논리 3. 역사적 상상력 4. 상상적 역사 이해의 유형 5. 역사적 이해의 논리 |
||
11. | 역사에서의 인과관계 / 역사의 과학성과 문학성 | 1. 사건이 일어난 원인이 무엇인가 2. 역사의 원인에 대해 연구하고 주목한다. 3. 역사에서의 원인은 무엇인가 4. 역사에서의 인과관계가 어떻게 결정되는가 5. 역사의 인과관계의 문제와 역사의 학문적 성격에 대해 논의한다. |
||
12. | 사관이란 무엇인가 I: 사관의 개념과 유형 | 1. 사관이란 역사관의 줄인말이다. 2. 사관이란 일반적으로 역사를 보븐 눈 또는 견해를 의미한다. 3. 사관은 3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 목적론적 역사철학으로서의 사관 - 역사법칙으로서의 사관 - 역사일원으로서의 사관 4. 사관은 가설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5. 사관의 한계가 무엇이며, 문제점은 무엇인가 6. 사관의 효용성에 대해 논의해 보자. |
||
13. | 사관이란 무엇인가 II: 역사주의 / 실증주의 / 상대주의 | 1. 구체적인 사관의 유형에 대해서 논의하자 2.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전반까지의 상황 3. 3가지 대표적인 사관에 대해 논의하자 4. 실증주의 사관에 대해서 논의하자 5. 상대주의 사관에 대해서 논의하자 |
||
14. | 근대 역사학의 발전과 변화 I: 근대 역사학의 태동 및 20세기 전반의 역사연구 | 1. 역사학 발전의 전반적 과정 2. 근대 역사학의 성립 3. 사회과학적 역사학의 대두 |
||
15. | 근대 역사학의 발전과 변화 II: 사회과학적 역사학과 포스트모던 역사학 | 1. 20세가 후반 역사학의 전반적인 동향 2. 역사의 문학성에 대한 관심의 부활 3. 미시사와 일상생활사 4. 언어적 전환과 포스트모던 역사학 |
||
16. | 기말고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