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모두를 위한 열린 강좌 KOCW

주메뉴

  • 주제분류
    인문과학 >인문과학기타 >철학
  • 강의학기
    2015년 2학기
  • 조회수
    12,264
  •  

차시별 강의

PDF VIDEO SWF AUDIO DOC AX
1. 문서 강의소개 및 개요 URL
2. 문서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해석학의 정의와 기원) 해석학의 어원은 그리스 신화의 헤르메스(Hermas)에서 유래한다. 이러한 해석학의 어원은 해석하다(to interpret)로 번역되는 그리스어의 동사 헤르메네웨인과 해석(interpretation)으로 번역되는 헤르메니아의 명사에서 나왔다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URL
3. 문서 보편적 해석학이란 무엇일까?(슐라이어마허와 딜타이의 정신과학의 해석 학) 슐라이어마허는 해석을 문법적 해석과 심리적 해석 구별을 통해 딜타이의 정신과학의 해석을 살펴본다.. URL
4. 문서 현상학적 해석학이란 무엇일까? (하이데거의 실존의 해석학) 하이데거의 실존철학에서 현상학은 근본적인 성격을 가장 특징적으로 보여준다. 하이데거『존재와 시간』(1927)에서 그의 철학적 방법을 현상학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URL
5. 문서 진리와 방법은 서로 양립가능할까?(가다머의 현대 해석학) 가다머『진리와 방법』의 궁극적인 과제인 진리의 경험이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는지를 해명한다. URL
6. 문서 합리적 의사소통 능력이란 무엇일까?(하버마스의 의사소통 해석학) 하버마스의『의사소통행위이론』(1981)에서 사회이론을 계획을 점검한다. URL
7. 문서 해체주의란 무엇일까? (데리다와 해체주의) 데리다의 철학적 전통과 현재의 철학적 이론을 비판하기 위한 전략적 과정으로서 해체를 살펴본다. URL
8. 문서 무의식의 해석학: 정신분석을 통한 거짓말 해석하기( 자크 라캉과 정신분 석) 라깡의 무의식의 언어로서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현실의 거짓말의 사례를 심층분석한다. URL
9. 문서 주체의 해석학: 매트릭스의 사회 (미셸 푸코와 파놉티콘) 푸코의 서구적 주체가 어떻게(지식, 권력, 윤리) 만들어 지는가를 차례로 고찰한다. URL
10. 문서 디지털 시대의 해석학: 모든 매체는 메시지인가?(맥루한과 미디어) 맥루한의 “메시지는 곧 매체이고 매체는 곧 메시지이다”라는 선언적인 표현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URL
11. 문서 스마트 폰에 말 걸기(II) (맥루한과 스마트 폰) 맥루한의 “메시지는 곧 매체라는 선언을 중심으로 스마트폰을 살펴본다.. URL
12. 문서 포스트휴먼사회란 무엇일까?: 대중문화, 대중예술과 말걸기(II) (지젝과 영화) 포스트휴먼사회, 대중문화, 대중예술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URL
13. 문서 세상거꾸로 보기의 해석학: 대중영화의 말걸기(II)(지젝과 대중영화) 지젝의 사상을 통해 대중영화의 말걸기를 시도한다. URL

연관 자료

loading..

사용자 의견

강의 평가를 위해서는 로그인 해주세요. 로그인팝업

이용방법

  • 문서 자료 이용시 필요한 프로그램 [바로가기]

    ※ 강의별로 교수님의 사정에 따라 전체 차시 중 일부 차시만 공개되는 경우가 있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이용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