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아동물리치료의 근거 중심 의사결정
|
1. 학습 과정 소개
2. 근거 중심 의사결정 |
|
2. |
|
발생학
|
배아의 형성 과정 |
|
3. |
|
정상운동발달
|
1. 정상 발달
2. 정상운동발달의 이정표 |
|
4. |
|
운동조절 및 운동학습
|
1. 운동조절과 운동학습의 이론
2. 운동기술 획득
3. 운동학습의 구성
4. 운동학습의 모델
5. 운동학습과 교육전략 |
|
5. |
|
유아의 반사활동
|
1. 힘줄반사
2. 병적반사
3. 신생아반사 |
|
6. |
|
정상자세조절기전
|
1. 자세 조절
2. 정상 자세 긴장도
3. 상반신경교차지배
4. 균형조절
5. 고유수용성 조절
6. 선택적 동작 |
|
7. |
|
뇌성마비
|
1. 개요
2. 발생빈도
3. 원인
4. 병태생리
5. 유형별 임상증상
6. 동반장애
7. 진단 및 평가
8. 유형별 치료원칙 |
|
|
|
이분척추
|
1. 개요
2. 원인 및 병태생리
3. 분류
4. 임상양상 |
|
|
|
신경근 질환
|
1. 병변부위에 따른 질환의 분류
2. 근이영양증
3. 척수근위축증
4. 평가항목
5. 단계별 증상과 특징
6. 치료적 중재 |
|
|
|
선천성 근성 기운목
|
1. 개요
2. 발생빈도
3. 원인
4. 분류
5. 임상양상
6. 진단 및 평가
7. 치료 |
|
|
|
분만팔신경얼기손상
|
1. 개요
2. 분류 및 임상증상
3. 평가 및 진단
4. 치료 |
|
8. |
|
염색체 및 유전질환
|
1. 염색체
2. 염색체이상
3. 유전질환
4. 염색체 및 유전질환의 치료 |
|
|
|
신경정신질환
|
1. 전반적 발달장애
2. 지적장애 |
|
|
|
심장호흡계질환
|
1. 소아 심장질환
2. 소아 호흡질환
3. 소아의 응급처치
4. 소아심장호흡질환의 치료 |
|
9. |
|
신경발달학적 접근법
|
1. 루드 접근법
2. 보이타 접근법
3. 고유감각 신경근육 촉진법
4. 보바스 접근법
5. 감각통합 접근법 |
|
10. |
|
근력강화 운동프로그램
|
1. 몸통 운동프로그램
2. 팔 운동프로그램
3. 다리 운동프로그램
4. 호흡근 운동프로그램 |
|
11. |
|
균형증진 프로그램
|
1. 균형
2. 균형 조절 |
|
12. |
|
보행증진 프로그램
|
1. 보행
2. 보행분석기
3. 보행증진프로그램 |
|
13. |
|
전기치료
|
1. 소아의 전기치료
2. 기능적 전기자극치료
3. 역치전기자극치료
4. 연하재활 기능적 전기자극치료 |
|
14. |
|
승마치료
|
1. 승마치료의 역사
2. 승마치료의 종류
3. 승마치료의 효과
4. 승마치료의 방법 |
|
15. |
|
수중물리치료
|
1. 수중물리치료의 정의 및 효과
2. 수중역학
3. 수중물리치료 종류
4. 아동을 위한 수중치료실 디자인 |
|
|
|
보조기 및 보조도구
|
1. 개요
2. 보조기
3. 보조도구 |
|
|
|
약물치료
|
1. 약물치료의 정의
2. 약물치료 |
|
|
|
가정방문물리치료
|
1. 개요
2. 외국의 가정방문물리치료
3. 우리나라의 가정방문물리치료
4. 가정방문물리치료의 적용 |
|
|
|
최근 소아물리치료 소개 및 제안
|
1. 로봇보조운동치료
2. 가상현실치료
3. 향후 소아물리치료를 위한 접근법 제안 |
|
|
|
평가 및 기록
|
1. 평가 및 기록
2. 덴버발달 선별검사
3. 피바디 운동발달척도
4. 기능분류체계
5. 일상생활활동 평가
6. 근긴장도 평가
7. 균형평가
8. ICF-CY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