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
펄스 진폭 변복조 | 1. 펄스 변조(Pulse Modulation) 2. 샘플링 정리(Sampling Theorem) 3. 펄스 진촉 변복조 4. 펄스 부호 변호(Pulse Coded Modulation) 5. 양자화 |
![]() |
2. | ![]() |
펄스 부호 변조(Pulse Coded Modulation:PCM) | 1. 부호화 2. 시분할 다중화 3. Differential PCM(DPCM) 4. Delta Modulation(DM) |
![]() |
3. | ![]() |
전송모듈 | 1. 전송모델 2. 신호공간 3. 수신신호의 신호공간 표현 |
![]() |
4. | ![]() |
MAP, ML 방식 | 1. 잡음의 영향을 고려해서 수신오류 확률을 최소화 하는 방법 2. MAP(Maximum a Posteriori) 방식 3. ML(Maximum Likelihood) 방식 |
![]() |
5. | ![]() |
심볼간섭 | 1. 심볼간 간섭에 대한 소개 2. 심볼간섭이 생기지 않는 조건에 대한 설명 |
![]() |
6. | ![]() |
펄스성형 | 1. 펄스성형의 종류가 그 예를 통해 펄스 성형의 특징을 알 수있다. 2. 부분 응답 전송의 종류의 수신방식과 PRS 구조 |
![]() |
7. | ![]() |
디지털 변복조 | 1. 등화 2. 아이패턴 3. 디지털 변복조 개요 4. 동기식 이진 PSK |
![]() |
8. | ![]() |
PSK, FSK, QPSK | 1. 동기식 이진 PSK 2. 동기식 이진 FSK 3. QPSK |
![]() |
9. | ![]() |
QPSK / MPSK / MPAM | 1. QPSK : 수신 구조와 오류 확률 2. MPSK : 수신 구조 3. MPAM : 수신 구조 |
![]() |
10. | ![]() |
MQAM / MFSK / BFSK / SPSK | 1. MQAM 2. MFSK 3. 비동기 BFSK 4. SPSK 5. 대역 확산 방식 개요 6. 의사 잡음 수열 7. 직접 수열 대역 확산 방식 |
![]() |
11. | ![]() |
CDMA | 1. 주파수 도약 방식 2. CDMA 개념 3. 원천 부호화 4. 허프만 부호 |
![]() |
12. | ![]() |
채널 부호의 역할 및 분류 | 1. 채널 부호의 역할 2. 채널 부호의 분류 3. FEC 분류 4. 선형 부호 5. 체계적 선형 블록 부호 |
![]() |
13. | ![]() |
순환 부호 | 1. 순환 부호 2. 체계전 순환 부호 3. 길쌈 부호 4. 트렐리스 부호 변호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