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오리엔테이션
|
통신공학 공개강의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
|
|
|
통신기술발전
|
통신기술의 발전과정을 개괄한다. |
|
|
|
1장 서론
|
통신시스템의 개요와 자원을 소개한다. |
|
2. |
|
2장(1) 신호 유형
|
신호 해석을 위한 기본 개념과 신호를 분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
|
|
|
2장(2) 기본 신호
|
통신 시스템에 등장하는 기본 신호에 대해 학습한다. |
|
3. |
|
2장(3) 선형시스템 해석
|
선형시스템을 해석하기 위한 컨볼루션 연산 및 상관함수에 대해 학습한다. |
|
|
|
3장(1) 푸리에 급수
|
스펙트럼의 개념과 주기신호의 푸리에 급수 표현 방법을 학습한다. |
|
4. |
|
3장(2) 푸리에 변환
|
비주기신호에 대한 푸리에 변환에 대해 학습한다. |
|
|
|
3장(3) 스펙트럼 밀도와 선형시스템
|
선형시스템의 입출력 관계를 스펙트럼 측면에서 설명한다. |
|
5. |
|
3장(4) 신호의 왜곡
|
신호의 왜곡 현상에 대해 학습한다. |
|
|
|
주파수스펙트럼
|
주파수 스펙트럼에 대해 설명한다. |
|
|
|
4장(1) 변조 원리와 DSB
|
진폭변조의 기본 원리와 DBS-SC 방식에 대해 학습한다. |
|
6. |
|
4장(2) AM
|
AM 방식의 원리와 변복조 방식에 대해 학습한다. |
|
|
|
4장(3) SSB 및 VSB
|
SSB 및 VSB 방식에 대해 학습한다 |
|
7. |
|
4장(4) 반송파 추적 등
|
동기검파를 위한 반송파 추적 방식과 수퍼헤테로로다인 방송방식에 대해 학습한다. |
|
|
|
5장(1) 각변조 원리
|
순시주파수의 개념과 각변조 방식의 원리에 대해 학습한다. |
|
8. |
|
5장(2) 각변조 대역폭
|
각변조 신호의 대역폭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
|
|
|
5장(3) FM 변복조
|
각변조 신호의 변조 및 복조 시스템에 대해 학습한다. |
|
9. |
|
5장(4) FM 잡음 특성 등
|
각변조 신호의 잡음 특성과 스테레오 방송방식에 대해 학습한다. |
|
|
|
6장(1) 확률변수
|
확률변수의 기본 개념에 대해 학습한다. |
|
10. |
|
6장(2) 통계적평균 및 주요 확률분포
|
통계적 평균에 대해 학습하고 대표적 확률밀도들을 소개한다. |
|
|
|
6장(3) 랜덤프로세스
|
랜덤프로세스의 개념에 대해 학습한다. |
|
11. |
|
6장(4) 전력스펙트럼 밀도 등
|
전력스펙트럼밀도와 랜덤프로세스의 대역통과 특성에 대해 학습한다. |
|
|
|
7장(1) 표본화
|
이상적인 표본화 정리를 설명하고 실제 표본화 과정과의 차이점에 대해 학습한다. |
|
12. |
|
7장(2) 아날로그 펄스변조
|
아날로그 펄스변조 방식인 PAM, PWM, PPM에 대해 학습한다. |
|
|
|
7장(3) PCM
|
이산신호 변환 과정과 양자화 잡음에 대해 학습한다. |
|
|
|
7장(4) DPCM, DM, ADM
|
선형예측의 개념과 DPCM 및 DM에 대해 학습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