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강의 오리엔테이션
|
서양철학과 동양 철학이라는 철학적 범주에 매몰되었던 한국의 철학적 경향성에 대해 진단하고 새로운 방향 정립의 필요성 역설 |
|
2. |
|
서양과 동양의 철학적 기원
|
서양의 고대 철학과 동양의 고대 철학자인 플라톤과 공자를 중심으로 사회적 맥락과 철학적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기회를 가짐 |
|
3. |
|
플라톤의 철학적 질문
|
플라톤의 철학적 내용과 철학적 문제의식 및 철학의 방법론을 탐색함 |
|
4. |
|
공자의 철학적 질문
|
공자의 시대적 특성과 철학적 입장을 오늘날의 시대적 맥락에서 새롭게 고찰하는 기회를 가짐 |
|
5. |
|
육체와 정신의 문제 고찰(서양적 심신론)
|
데카르트를 중심으로 육체와 정신에 대한 서양인들의 시각을 이해함 |
|
6. |
|
육체와 정신의 문제 고찰(동양적 심신론)
|
동양의 심신론인 혼백론을 중심으로 유가의 심신관계에 대한 고찰 |
|
7. |
|
후설의 현상학에 대한 이해
|
후설의 현상학에 대한 일반적 이해 |
|
8. |
|
왕수인의 현상학적 이해
|
왕수인이 심즉리의 현상학적 해석의 가능성 고찰 |
|
9. |
|
서양적 이성중심의 사고
|
서양의 중심적 사고 구조와 중심적 문제들 |
|
10. |
|
동양의 감성중심의 사고
|
동양의 중심적 사고 구조와 중심적 관심사들 |
|
11. |
|
서양과 동양의 철학적 유사성과 차이점
|
서양과 동양의 철학적 사유 구조의 차이를 고찰함 |
|
12. |
|
개인주의와 공동체 주의
|
개인을 구성하는 국가에 대한 두 철학의 근본 전제들 |
|
13. |
|
오늘날의 한국적 문제점들(1,2)
|
자살, 생명경시사상 등 사회적 문제의 근원에 위치한 한국 철학의 부재에 대한 성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