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역사 속 미생물학 |
1. 미생물의 종류
2. 과학의 역사 속 미생물학의 역사 |
|
|
|
미생물학의 주요 역사 |
1. 자연발생설
2. 파스퇴르의 업적
3. 코흐의 업적 |
|
|
|
현미경의 역사 |
1. 현미경의 발명
2. 17세기 현미경의 발달
3.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의 차이 |
|
2. |
|
세균의 형태와 크기 |
1. 세포성 원핵생물
2. 세균의 형태
3. 세균의 구조 |
|
|
|
세균의 세포벽과 내생포자 |
1. 그람 염색
2. 세균의 세포벽
3. 세균의 내생포자 |
|
|
|
세균의 부속사와 봉입체 |
1. 세균의 부속사
3. 세균의 봉입체 |
|
3. |
|
균류의 형태 |
1. 균류의 특징
2. 균류의 형태 |
|
|
|
생물계 분류 |
1. 생물계 분류
2. 세균, 고균, 진행생물의 차이
3. 진정균류, 유사균류 |
|
|
|
균류의 분류 |
1. 균류의 분류체계
2. 자낭균, 담자균
3. 접합균, 불완전균 |
|
4. |
|
배지와 멸균 |
1. 배지의 종류
2. 멸균 방법 |
|
|
|
순수배양 |
1. 미생물의 집락
2. 순수배양의 방법 |
|
|
|
생장과 측정 |
1. 세균의 생장
2. 세균의 생장 측정 방법 |
|
5. |
|
대기환경 |
1. 대기
2. 대기미생물
3. 지의류, 선태류 |
|
|
|
담수환경 |
1. 담수
2. 호수의 변천
3. BOD, COD |
|
|
|
해양환경 |
1. 해양
2. 해양 미생물
3. 생물정화 |
|
6. |
|
토양의 물리적 성질 |
1. 산림토양
2. 토성
3. 용적비중 |
|
|
|
토양의 화학적 성질 |
1. 토양과 유기물
2. 토양산도
3. 양이온치환능력 |
|
|
|
토양의 생물학적 성질 |
1. 토양동물
2. 균근균
3. 산림토양, 경작토양 |
|
7. |
|
외생균근균 |
1. 균근 유형
2. 외생균근균의 종류
3. 외생균근균의 기주 |
|
|
|
내생균근균 |
1. 내생균근균의 특징
2. 내생균근균의 종류 |
|
|
|
기타 균근균 |
1. 내외생균근균
2. 진달래형 균근균
3. 균근균의 다양성 |
|
8. |
|
임산물과 임산버섯 |
1. 임산물 생산 현황
2. 임산버섯, 농산버섯
3. 버섯의 구조 |
|
|
|
표고 |
1. 표고
2. 원목재배, 톱밥재배
3. 최근 표고 동향 |
|
|
|
기타 임산버섯 |
1. 기타 임산버섯
2. 균근균, 부후균
3. 임산버섯의 효능, 이용 |
|
9. |
|
질소고정 |
1. 식물 내 질소화합물
2. 질소고정
3. 식물 내 질소대사 |
|
|
|
질소고정균 |
1. 자유생활 질소고정균
2. 식물공생 질소고정균
3. 뿌리혹 형성과정 |
|
|
|
방선균 |
1. 산림 내 질소고정 식물
2. 방선균과 공생하는 산림식물
3. 방선균 |
|
10. |
|
외부착생 미생물 |
1. 엽면/엽권 미생물
2. 화기 미생물
3. 빙핵형성세균 |
|
|
|
지상부의 질소고정균 |
1. 양치식물 Azolla
2. 남세균 Anabaena
3. 잎의 세균성 혹 |
|
|
|
남세균 |
1. 남세균의 특징
2. 남세균의 광합성
3. 남세균의 이슈 사례 |
|
11. |
|
효모 |
1. 진핵미생물
2. 효모
3. 효모의 다양성 |
|
|
|
조류 |
1. 조류(藻類)의 종류
2. 조류의 세포 구조
3. 조류의 운동 |
|
|
|
플랑크톤 |
1. 플랑크톤
2. 플랑크톤의 종류
3. 플랑크톤의 이슈 사례 |
|
12. |
|
고균 |
1. 고균
2. 고균의 서식지
3. 고균과 세균의 차이 |
|
|
|
온실기체생성균 |
1. 온실기체
2. 메탄 생성
3. 아산화질소 생성 |
|
|
|
호열성균, 호염성균 |
1. 호열성균
2. 호염성균
3. 지구 차원의 미생물 분포 |
|
13. |
|
상리공생 |
1. 진딧물과 미생물의 상리공생
2. 흰개미와 미생물의 상리공생
3. 이끼와 미생물의 상리공생 |
|
|
|
협동, 편리공생, 포식 |
1. 질소고정균의 협동
2. 질산화세균의 편리공생
3. Bdellovibrio의 포식 |
|
|
|
기생, 편해, 경쟁 |
1. 지의류에서 균류의 기생
2. 항생물질에 의한 세균의 편해
3. 서식지/양분에 대한 미생물의 경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