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양명학은 오늘날 어떤 의미를 갖는가 주자학과의 차별성 1부 | "양명학은 오늘날 어떤 의미를 갖는가?-주자학과의 차별성" 양명학이 현대사회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주자학과는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본다 주자학은 계몽주의적으로 대학을 해석하여 신민을 중시하였는데 반하여 양명은 대학고본 대로 백성과 감통하는 친민을 강조하였다. |
||
양명학은 오늘날 어떤 의미를 갖는가 주자학과의 차별성 2부 | ||||
2. | 도덕적 주체로서의 양지란 무엇인가 지식과의 차별성 1부 | "도덕적 주체로서의 양지란 무엇인가?-지식과의 차별성" 도덕적 주체인 양지의 의미를 조명한다. 양지는 지식 또는 지각과 다르다. 지식은 대상화시켜서 무엇을 아는 앎이다. 그러나 양지는 내 마음속의 나침판이다. 형식적이고 외적인 예 규범보다는 생동하는 내면적인 도덕판단의 주체이다. |
||
도덕적 주체로서의 양지란 무엇인가 지식과의 차별성 2부 | ||||
3. | 현실사회에 양지를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집행합일과 치양지 1부 | "현실사회에 양지를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치양지공부" 현실사회에서 양지를 실현하는 공부방법이 바로 치양지이며 지행합일이다. 먼저 알고 나서 실행하는 주자학적인 지식과 행위의 합일이 아니라 일하고 행위 하는 생동적 현실 속에서 양지를 실현하는 것이 바로 지행합일이요 치양지이다. |
||
현실사회에 양지를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집행합일과 치양지 2부 | ||||
4. | 양명후학의 치양지학과 우리나라의 하곡학 1부 | "양명 후학들은 양지학을 어떻게 계승 발전시켰는가?" 왕양명은 사구교에서 마음의 본체로서의 양지와 선약을 판단하는 작용으로서의 양지를 언급하여 본체와 공부의 문제를 제기하였다. 양명후학들은 이 문제를 둘러싸고 여러 가지 다른 해석을 제시하였다. 조선시대 하곡 정제두는 양지체용론으로 이 문제를 풀이 하였다. |
||
양명후학의 치양지학과 우리나라의 하곡학 2부 | ||||
5. | 종합토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