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청소년문화의 기본개념 |
청소년문화 이해의 필요성과 청소년, 문화, 청소년문화 등 기본개념에 대해 학습. |
|
2. |
|
문화를 보는 관점,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
문화의 뜻을 다시 생각해 보면서 문화를 바라보는 관점들,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등 문화의 특성들에 대해 학습. |
|
3. |
|
문화 생성, 변동의 원인. |
문화의 생성과 변동에 작용하는 원인들에 대한 학습. 원인으로는 크게 사회 내부적, 사회 외부적인 것들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그 배경에는 문화 자체와 문화창조 및 교육 전문가들의 주체적 노력 외에도 경제, 기술, 정치, 군사 등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하고 있다. |
|
4. |
|
사회화와 하위문화. |
사회화가 개인, 사회, 그리고 문화에 대해 어떤 의미를 지니는 것인지를 학습하고, 사회화가 이루어지는 과정과 하위문화의 연관관계에 대해서도 학습. |
|
5. |
|
일탈행동의 이론과 청소년문화 |
규범을 벗어나는 행동, 즉 일탈행동에 대한 여러가지 이론들과 청소년문화를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한 학습. |
|
6. |
|
청소년과 세대차이. |
청소년과 세대의 개념, 그리고 청소년 세대와 기성세대 사이의 문화적 차이에 대해 학습 |
|
7. |
|
현대한국 청소년의 생활문화와 가치규범. |
오늘날의 한국청소년들이 어떻게 살아가며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즉 그들의 생활문화와 가치규범의 실태와 현황에 대해 학습. |
|
8. |
|
한국청소년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
한국문화가 국제적인 보편성과 특수성을 가지고 있듯이, 한국 청소년문화가 지니고 있는 보편성과 특수성이 무엇인지에 대해 학습. |
|
9. |
|
현대와 청소년 생활의 미시환경과 거시환경. |
현대의 뜻과 현대사회의 특징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오늘날의 청소년들의 삶을 둘러싸고 있는 미시적, 거시적, 사회문화 환경이 무엇인지, 그러한 환경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에 대해 학습. |
|
10. |
|
청소년의 일탈행동과 청소년지도 |
청소년 일탈행동의 특징과 현황, 그리고 그들에 대한 지도를 어떻게 할 것인지와 관련하여 지도의 의미, 종류 등에 대해 학습. |
|
11. |
|
가족과 가정생활, 그리고 청소년. |
청소년의 1차적 관계이자 생활의 장인 가족과 가정의 뜻과 의의에 대한 이해. |
|
12. |
|
청소년에게 가족이란 무엇인가. |
가족이란 무엇인가, 청소년에게 가족이란 무엇인가, 청소년에게 가족이란 가정환경이라는 점에 대한 학습. |
|
13. |
|
우리나라 청소년의 학교생활과 교육환경. |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학교생활과 교육환경의 실태, 그리고 그 미시적, 지역적, 계층적, 거시적 배경조건들에 대해 학습. |
|
14. |
|
청소년의 사회생활과 사회참여, 여가활동. |
청소년들의 방과후 활동에 해당하는 각종 사회생활과 사회참여 및 여가활동의 실상에 대해 학습. |
|
15. |
|
청소년의 가출과 이성교제. |
청소년들의 가출행동과 이성교제의 실태 및 이와 관련된 의식에 대한 학습. |
|
16. |
|
청소년의 언어문화와 욕설문화; 사례발표. |
청소년들의 언어문화와 욕설문화의 실태와 변화에 대해 학생들의 사례조사 발표. |
|
17. |
|
가정환경의 차이와 청소년. |
청소년들의 생활과 의식구조가 경제적, 사회-문화적 가정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점, 그러한 가정환경의 차이가 청소년들에게 어떻게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학습. |
|
18. |
|
보충; 청소년 일탈행동과 범죄. |
청소년의 일탈행동과 범죄에 대한 보충강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