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삶과 공부
|
공부를 왜 해야 하는가에 대해 실례를 통한 질문에 답해보며 교육의 의미를 생각하고, 올바른 교사관을 정립하도록 한다. |
|
2. |
|
두 가지 도덕, 두 가지 교육
|
도적 교육이란 무엇이며, 그 필요성에 대해 논의해 본다. 이때 도덕이 도덕적 개념의 행동화, 즉 일상의 도덕적 관심인지, 아니면 도덕적 행동의 개념화, 즉 윤리학의 학문적 관심인지의 두 가지 관점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
|
3. |
|
제도의 아름다움
|
제도란 무엇인지 소크라테스, 니일, 일리치의 주장을 통해 살펴보고, 제도화된 교육에 대해 찬/반의 논리를 펼쳐봄으로써 교육이 제도로서 아름답기 위해 어떠해야 하는지 논의한다. |
|
4. |
|
정치와 교육
|
정치를 사회과학적 방법으로 바라보았을 때와 철학적 방식으로 보았을 때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 논의한 후 정치와 교육의 관계를 살펴본다. 결국 교육학이 삶의 형식을 어떻게 확인하느냐에 따라 정치의 기능적 수행여부가 결정된다는 것을 이해하고 우리 교육이 삶의 형식을 규명하고 밝히는 교육인지, 또 우리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어디인지에 대해 토의한다. |
|
5. |
|
삶의 형식과 교육
|
국가론 중 소크라테스와 글라우콘-아데이만토스 형제의 대화를 통해 정의가 무엇인지 논의한다. 정의는 삶을 통해 실현된다. 그리고 인간의 삶의 형식은 교육을 통해 정립될 수 있다. 이러한 관계들을 살피며 정의로운 삶이 무엇인지, 또 그러한 삶을 꼭 실현해야 하는지 논의한다. |
|
6. |
|
안과 밖의 논리
|
장자의 포정 이야기를 시작으로 교육의 내재적 가치와 외재적 가치에 대해 살펴본다. 이에 대한 논의의 예로 대표적인 학자는 듀이와 피터즈이다. 이들의 논의를 중심으로 교육의 목적 실현을 위한 출발점이 어디인지 생각해 본다. |
|
7. |
|
자아 발달의 심리와 논리
|
자아심리학에서의 자아 개념, 자아 발달의 개념과 키에르케고르가 주장하는 자아와 자아 발달 개념을 살펴본다. 더불어 키에르케고르가 말하는 자아의 구조와 자아 발달 단계를 분석해보고 자아 발달과 교육과의 관련성을 탐구한다. |
|
8. |
|
지식의 구조와 지식의 형식
|
지식의 구조와 형식을 교과의 의미를 통해 살펴본다. 교과는 '살아가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과 '교과는 교과 그 자체'라는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각각의 관점에 따라 지식의 구조와 형식을 달리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다. |
|
9. |
|
교육의 근본 제약과 극복
|
교육에 있어 근본제약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것이 심화되는 원인을 규명한 후 극복 방안을 모색한다. |
|
10. |
|
교육의 사회적 측면
|
교육이 사회에 대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고 또 수행해야 한다는 것은 교육의 사회적 측면으로서 유일한 것이 아님을 살펴본다. 이는 교육을 기능주의적 관점으로 바라본 것이고, 문화학습적 관점으로 바라본다면 사회가 교육적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교과학습과 문화학습의 개념을 정리하고 그 둘이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듀이의 이론을 통해 고찰한다. |
|
11. |
|
학교교육의 성격과 과제
|
교육의 의미와 중요성을 교육내용의 성격을 통해 규명해 본다. 진정한 교육의 의미는 올바른 교육을 통해 스스로 깨닫는 것으로 현상을 보기 위한 안목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학교교육은 문제해결을 위한 지식과 안목을 기르기 위한 지식 모두를 포함하나 공부를 입시를 위한 수단으로 잘못 파악하여 문제해결 위한 지식에 치중하고 있다. 본 강의를 통해 그 극복 방안을 모색해 본다. |
|
12. |
|
삶의 자세로서의 교육
|
개인은 사회 제도로서의 교육에 의해 삶에 대한 자세에 영향을 받는다. 삶의 자세는 이론적 삶의 자세와 실제적 삶의 자세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는데, 교육의 목적은 학생들이 이론적 삶의 자세를 받아들이도록 하는 데 있다. |
|
13. |
|
교육의 목적
|
흔히 교육의 목적으로 드는 것은 자아실현이다. 여기서의 자아실현은 심리학자가 설명하는 자아실현과 동일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고 나아가 더욱더 포괄적인 의미를 지님으로써 자아가 가치있다고 생각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좁게 보면 학교교육은 학생들이 그들 스스로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달성하도록, 즉 실제적문제해결을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지만 현제의 교육은 그것과 거리가 있다는 것을 논의하며 각자가 생각하는 교육의 목적을 논리적으로 설명해 본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