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통일과 인문학의 만남 | 통일과 인문학의 만남 | ||
통일과 인문학의 만남 | 통일과 인문학의 만남 | |||
2. | 역사적 트라우마의 개념 이해 | 역사적 트라우마의 개념 이해 | ||
역사적 트라우마의 개념 이해 | 역사적 트라우마의 개념 이해 | |||
3. | 코리언의 역사적 트라우마 | 코리언의 역사적 트라우마 1 | ||
코리언의 역사적 트라우마 1 | 코리언의 역사적 트라우마 1 | |||
4. | 국가폭력 트라우마 | 국가폭력 트라우마 | ||
국가폭력 트라우마 | 국가폭력 트라우마 | |||
5. |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유 방법론 |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유 방법론 | ||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유 방법론 |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유 방법론 | |||
6. | 역사적 트라우마의 양상과 통합서사 1 | 통일인문학 관점의 통합서사 | ||
역사적 트라우마의 양상과 통합서사 1 | 통일인문학 관점의 통합서사 | |||
7. | 역사적 트라우마의 양상과 통합서사 2 | 식민·이산 트라우마와 통합서사 | ||
역사적 트라우마의 양상과 통합서사 2 | 식민·이산 트라우마와 통합서사 | |||
8. | 역사적 트라우마의 양상과 통합서사 3 | 분단트라우마와통합서사 | ||
역사적 트라우마의 양상과 통합서사 3 | 분단트라우마와통합서사 | |||
9. | 역사적 트라우마의 양상과 통합서사 3 | 역사적트라우마와 통합서사 | ||
역사적 트라우마의 양상과 통합서사 3 | 역사적트라우마와 통합서사 | |||
10. | 통일문화론 1 | 남과 북의 언어생활 | ||
통일문화론 1 | 남과 북의 언어생활 | |||
11. | 통일문화론 2 | 북한의 문학을 통해 본 정서 가치 | ||
통일문화론 2 | 북한의 문학을 통해 본 정서 가치 | |||
12. | 통일문화론 3 | 영상을 통해 본 일상의 변화 | ||
통일문화론 3 | 영상을 통해 본 일상의 변화 | |||
13. | 통일문화론 4 | 북한의 문화재 정책과 민족문화 | ||
통일문화론 4 | 북한의 문화재 정책과 민족문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