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제분류
- 교육학 >교육일반 >교육행정학
-
- 등록일자
- 2012.01.19
❍ 서론
- 10여년 전 KOICA 등을 통한 교육훈련은 있었으나 교육 ODA는 없었음
- 개도국에서의 한국발전경험과 교육경험 전수의 가치의 파급력
- 교육은 백년대계로 사전논의가 중요하며 그런 점에서 F/S(타당성조사) 등이 매우 중요함
-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현장에서 타당성조사가 간과될 때가 많음
- 원조에서는 사후관리가 중요하며 장기전임
- 이에 따라 예산 분배와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함
❍ 한국 교육 ODA
- 한국정보는 EDCF, KOICA를 통하여 개도국에 교육 및 인적자원개발(HRD) 분야의 교육인프라구축, 각종 교육관련 지원사업을 통해 교육 및 HRD 분야의 노하우를 개도국에 전수
- 개도국의 경제산업발전에 필요한 인적자원 양성 기반 조성에 기여
- 한국의 ODA 분야 중에서도 교육 및 인적자원개발 분야는 다른 국가와 비교하여 비교우위를 지님
- 교육분야 원조분야 수요 증가와 교육에 비교우위가 있음에도 체계적인 ODA 시스템이 미흡함
❍ 한국 교육 ODA 사례 - 라오스 국립 수파노봉대학교 현황
- 라오스 수파노봉대학교는 라오스 북부 8개 주에 인적자원을 배출하여 산업을 진흥하고자 한국 정부의 EDCF 원조를 받아 2007년 설립됨
- 한국정보로부터 건설, 교육 기자재 등 하드웨어 공급 및 전문가 파견,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 교직원 연수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 지원을 받았음
- 재학생은 4742명, 교직원은 173명의 교원을 포함하여 198명
- 교재 및 교육과정 개발을 그들이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바람직
❍ 한국 교육 ODA 개선방안
- 개발도상국에 대한 원조 지원시 선택과 집중을 통하여 특정 지역과 분야에 집중하는 것이 효과적임
- 교육 ODA는 단기적 성과를 기대하기보다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후관리 또는 후속지원을 통해 지속적으로 지원
- ODA 이후에도 사후관리와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지속 가능한 교육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
- 교육ODA의 효과성 증대를 위해 경험과 노하우의 시스템화가 필요
❍ 결론
- 단기적 성격의 교육 ODA가 아닌 교육ODA 이후 사후관리와 후속지원을 통해 지속적인 성과를 만들 수 있도록 소포트웨어 측면의 집중적인 지원 필요
- 고등교육ODA는 교육ODA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좋은 방안이므로 ODA를 통한 대학의 설립 및 운영 지원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