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GIS 개론 | GIS란 넓은 의미로 인간의 의사 결정능력의 지원을 위해 공간상 위치를 나타내는 지형공간자료와 관련된 속성자료를 연결하여 처리하는 정보시스템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지형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 저장, 갱신, 처리, 분석, 출력하여 의미있는 정보를 생산하기 위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지리자료, 인적자원의 통합적 시스템으로 정의할 수 있다. | ||
2. | 지형공간정보의 이해 | GIS 의 기본정보인 지형공간정보에 대한 이해 | ||
3. | 지도의 이해 | 1. 지도의 정의 2. 지도의 가치 3. 지도데이터의 특성 4. 지도구성의 기본요소 5. 지도의 분류 6. 좋은 지도를 작성하기 위해 고려사항 |
||
4. | 지도의 좌표계 | 1. 좌표계의 정의 2. 좌표계의 종류 3. 지구형상의 표현 4. 지도의 좌표계 5. 지도투영 |
||
5. | GIS 데이터 모델 | 수치지도는 지형, 지물, 지명 등의 각종 지형정보 기타 이와 관련된 사항을 수치화한 후 전산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를 분석, 편집 및 입, 출력할 수 있도록 제작된 수치지형도, 수치주제도 등을 말한다. | ||
6. | 수치지도의 이해 | 수치지도에서의 정보 표현 | ||
7. | 수치영상 제작의 이해 | 1. 수치영상지도 - 수치영상을 활용하여 지구 표면상에 있는 지물의 위치형상이나 지형 등을 일정한 비율로 축소하고 기호화해서 컴퓨터 공간상에서 표현한 것 |
||
8. | 영상의 기하보정 | |||
9. | 수치영상지도, DEM, TIN의 이해 | DEM : DEM은 공간상에 나타나는 지형기복을 2차원 평면상에 연속적으로 표현하는 모형을 말하며 수치표고모델이라고 한다. | ||
10. | GIS 데이터획득기술의 소개 및 측량공학을 활용한 위치결정 | 1. 측지측량 2. 일반측량 3. GPS 위성측량 4. 사진측량 |
||
11. | GPS 위성측량을 활용한 위치결정 | 1. GPS 위성측량 개요 2. GPS의 구성 3. Pseudo range |
||
12. | 항공사진을 이용한 GIS data 제작과정 | |||
13. | 항공사진을 활용한 수치 지형도 제작과정 | |||
14. | GIS 데이터 획득기술 V | |||
15. |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GIS 활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