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시간과 시간의식이란 무엇인가 |
Ⅰ. 강의 개요 및 강의 구조
Ⅱ. 시간이란 무엇인가?
Ⅲ. 시간의식이란 무엇인가? |
|
2. |
|
플라톤과 플라톤 이전 사상가들의 시간 이해 |
Ⅰ. 고대 그리스 철학의 시간의식
1. 아낙시만도로스
2. 헤라클레이토스
3. 파르메니데스
Ⅱ.플라톤(Platon)의 시간의식 |
|
3. |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 이해 |
Ⅰ. 플라톤에 대한 비판
Ⅱ.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 개념
Ⅲ.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비판 |
|
4. |
|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 이해 |
Ⅰ. 고대 그리스 철학과 차이
Ⅱ.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 개념 |
|
5. |
|
후설의 시간이해 |
Ⅰ. 후설의 시간 이해
Ⅱ. 시간에 논의 정리 및 과제 |
|
6. |
|
하이데거의 시간 이해-일상적 시간의식 |
Ⅰ. 일상적 시간의식에 대한 이해
Ⅱ. 하이데거의 실존개념 |
|
7. |
|
하이데거의 시간 이해-빠져있음 |
Ⅰ. 현존재의 빠져있음
Ⅱ. 빠져있음의 존재양식과 시간의식 |
|
8. |
|
하이데거의 시간이해- 근원적 시간의식을 위한 불안과 양심 |
Ⅰ. 빠져있음의 시간성
Ⅱ. 근원적인 시간의식 |
|
9. |
|
하이데거의 시간이해-본래적 존재양식과 시간성 |
Ⅰ. 죽음에 대한 의식
Ⅱ. 근원적 시간성 |
|
10. |
|
톨스토이의 이반일리치의 죽음을 통해서 본 근원적 시간의식 |
Ⅰ. 톨스토이의 이반일리치의 죽음
Ⅱ. 근원적 시간을 통한 이반일리치의 죽음 분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