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전쟁의 이해(1)
|
동양의 군사사상 : 손자병법 소개 |
|
|
|
전쟁의 이해(2)
|
서양의 군사사상 : 클라우제비츠 ‘전쟁론’소개 |
|
|
|
전쟁사 연구의 중요성,
수업진행방법
|
역사의 어원(동양, 서양), 전쟁사 연구 목적
수업진행 방식 소개 |
|
2. |
|
한국전쟁(6.25전쟁) 연구동향(1)
|
전통주의자들의 견해 |
|
|
|
한국전쟁(6.25전쟁) 연구동향(2)
|
수정주의자들의 해석, 최근 연구 동향 |
|
|
|
한반도 분단, 정부수립
|
일본제국주의 침략 ~ 남북한 정부수립 |
|
3. |
|
한국전쟁(6.25전쟁)의 원인(1)
|
미국과 소련의 대립, 미국의 한반도 정책 |
|
|
|
한국전쟁(6.25전쟁)의 원인(2)
|
국내적 요인, 북한의 전쟁준비 |
|
|
|
한국전쟁(6.25전쟁)의 원인(3)
|
국내적 요인, 국내정세의 혼란, 미군정~정부수립 |
|
4. |
|
북한의 남침계획
|
선제타격계획, 반격계획, 1단계 작전계획 |
|
|
|
국군의 방어계획과 대비태세
|
국군 방어계획, 대비태세, 피아 배치 |
|
|
|
한국전쟁(6.25전쟁) 개관
|
한국전쟁의 단계별 진행과정 |
|
5. |
|
초기 전투
|
피·아 작전계획, 옹진지구, 개성·문산·의정부 전투 |
|
|
|
의정부지구 전투
|
의정부지구 전투 분석 |
|
|
|
춘천지구 전투
|
춘천지구 분석 |
|
6. |
|
미국의 참전과 초기대응
|
미국의 개입 배경, UN 안보리의 대응 |
|
|
|
한강선 방어
|
한강선 방어 전투 분석, 방어 성공요인 분석 |
|
|
|
지연전 개관
|
지연전 개념, 지연전 주요전투 소개 |
|
7. |
|
지연전 경과
|
지연전 작전진행 과정, 단계별 지연선 설정 |
|
|
|
서부지역 지연전(1)
|
경부국도상 지연전, 죽미령 전투, 평택/천안 |
|
|
|
서부지역 지연전(2)
|
금강~소백산맥 지연전, 대전 전투, 음성/괴산전투 |
|
8. |
|
중서부지역 지연전(동락리 전투)
|
중서부지역 지연전 경과분석, 동락리 전투 분석 |
|
|
|
중서부지역 지연전(화령장 전투)
|
중서부지역 지연전 경과분석, 동락리 전투 분석 |
|
|
|
중동부, 동해안, 서남부 지연전
|
중동부, 동해안, 서남부 지연전 분석 |
|
9. |
|
낙동강 방어선 전투
|
낙동강 전투 개관 |
|
|
|
북한군 8월, 9월 공세
|
낙동상 방어선 상 북한군 주요 공세 분석 |
|
|
|
다부동 전투, 영천 전투
|
다부동 전투, 영천 전투 분석 |
|
10. |
|
인천상륙작전
|
인천상륙작전 실시 및 결과 분석 |
|
|
|
낙동강선에서의 반격작전 개관
|
낙동강선에서의 반격작전 실시 및 결과 분석 |
|
|
|
반격작전 계획/결과 분석
|
반격작전 의의 및 결과 분석 |
|
11. |
|
북진작전 계획
|
북진작전 계획수립 과정, 맥아더와 워커의 계획 비교/분석 |
|
|
|
북진한계선으로의 진격
|
북진한계선 선정과정, 원산상륙작전 분석 |
|
|
|
한만국경선으로의 진격
|
UN군 북진한계선 철폐이유, 서부/동부 작전분석, 평양탈환작전 |
|
12. |
|
중공군의 참전, 중공군 1차 공세
|
맥아더의 판단, 중공군 개입 요인 |
|
|
|
중공군의 2차, 3차 공세, 미국의 새로운 정책 모색
|
중공군 공세 분석, 평양철수 작전, 흥남철수 작전, 미국의 새로운 정책 모색 배경/과정 분석 |
|
|
|
중공군 4차, 5차 공세
|
UN군 반격, 38도선 탈환 작전과정 분석 |
|
13. |
|
휴전협상과 1951년 주요 전투
|
휴전협상 진행과정, 전선추진작전 분석 |
|
|
|
휴전협상과 1952년 주요 전투
|
회담전선의 교착. 1952년 주요전투 분석 |
|
|
|
포로문제와 1953년 주요전투, 총평
|
포로문제. 이승만 대통령의 동맹외교. 총평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