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서사문학으로서 동화 | 1교시: 어휘 및 개념 | ||
서사문학으로서 동화 | 2교사: 장르 특성 | |||
서사문학으로서 동화 | 3교시: 대중문학과의 차이 | |||
2. | 구전문학의 갈래 | 1교시: 신화 | ||
구전문학의 갈래 | 2교시: 전설과 성담 | |||
구전문학의 갈래 | 3교시: 우화와 슈방크 | |||
3. | 동화의 발생 및 전파 | 1교시: 근원으로서 태고시대 | ||
동화의 발생 및 전파 | 2교시: 일원발생설 | |||
동화의 발생 및 전파 | 3교시: 다원발생설 | |||
4. | 한독 전래동화 비교(1) | 1교시: 동화의 두 갈래 | ||
한독 전래동화 비교(1) | 2교시: <콩쥐팥쥐>와 <신데렐라> | |||
한독 전래동화 비교(1) | 3교시: 두 동화의 공통점과 차이점 | |||
5. | 한독 전래동화 비교(2) | 1교시: <손 없는 색시>와 <손 없는 소녀> | ||
한독 전래동화 비교(2) | 2교시: 두 동화에 나타난 가정파괴적 요소 | |||
한독 전래동화 비교(2) | 3교시: 한독 가족관 비교 | |||
6. | 한독 전래동화 비교(3) | 1교시: 양식적 특징 | ||
한독 전래동화 비교(3) | 2교시: <바라데기>와 <생명의 물> | |||
한독 전래동화 비교(3) | 3교시: 양식적 변이 | |||
7. | 한독 전래동화 비교(4) | 1교시: 성장과 심리변이 | ||
한독 전래동화 비교(4) | 2교시: <해와 달이 된 오누이>와 <헨젤과 그레텔> | |||
한독 전래동화 비교(4) | 3교시: 모티브의 유사성 | |||
8. | 규범으로서 그림 동화 | 1교시: 그림 동화집의 생성 | ||
규범으로서 그림 동화 | 2교시: 그림 동화의 구성원칙들 | |||
규범으로서 그림 동화 | 3교시: 그림 동화에 대한 평가 | |||
9. | 그림 동화의 중심 모티브 | 1교시: 시간초월성 | ||
그림 동화의 중심 모티브 | 2교시: 예언과 저주 | |||
그림 동화의 중심 모티브 | 3교시: 구원 | |||
10. | 그림 동화 해석(1) | 1교시: 여성상 | ||
그림 동화 해석(1) | 2교시: 남성상 | |||
그림 동화 해석(1) | 3교시: 변신의 문제 | |||
11. | 그림 동화 해석(2) | 1교시: 시련과 자아완성 | ||
그림 동화 해석(2) | 2교시: 혼인의례의 유형 | |||
그림 동화 해석(2) | 3교시: 죽음의 문제 | |||
12. | 그림 동화 해석(3) | 1교시: 입문의식 | ||
그림 동화 해석(3) | 2교시: 남성의 입문의식 | |||
그림 동화 해석(3) | 3교시: 여성의 입문의식 | |||
13. | 그림 동화 분석이론(1) | 1교시: 홀베크의 이론적 토대 | ||
그림 동화 분석이론(1) | 2교시: 홀베크의 마법동화에 대한 이해 | |||
그림 동화 분석이론(1) | 3교시: 홀베크의 형식분석 | |||
14. | 그림 동화 분석이론(2) | 1교시: 성심리학적 분석 | ||
그림 동화 분석이론(2) | 2교시: 성의 양상 | |||
그림 동화 분석이론(2) | 3교시: 성숙과정의 발현 | |||
15. | 기말고사 | 출석기말고사 | ||
기말고사 | 출석기말고사 | |||
기말고사 | 출석기말고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