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오리엔테이션 | 강의계획 소개 및 수강생 의견 청취 | ||
2. | 교육사회학의 이해 | 교육과 사회, 교육의 사회적 기능, 교육사회학의 발전 과정 | ||
교육사회학의 이해 | 교육과 사회, 교육의 사회적 기능, 교육사회학의 발전 과정 | |||
3. | 교육사회학 이론(기능주의론) | 교육현상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들: 기능이론 | ||
기능주의론 | 교육현상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들: 기능이론 | |||
4. | 교육사회학 이론(갈등이론) | 교육현상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들: 갈등이론 | ||
5. | 교육사회학 이론(갈등이론) | <토론> 한국 교육현실에 비추어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은 얼마나 설득력이 있고, 어느 이론이 더 적절한가? | ||
갈등이론 | <토론> 한국 교육현실에 비추어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은 얼마나 설득력이 있고, 어느 이론이 더 적절한가? | |||
6. | 교육사회학 이론(교육과정사회학) | 교육현상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들: 신교육사회학 | ||
7. | 교육사회학 이론(교육과정사회학) | <토론> 한국 교육현실에 비추어, 특히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과 관련하여 해석적 접근은 얼마나 설득력이 있는가? | ||
신교육사회학 | <토론> 한국 교육현실에 비추어, 특히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과 관련하여 해석적 접근은 얼마나 설득력이 있는가? | |||
8. | 교육의 기회균등과 교육평등 | 교육의 기회균등과 교육평등 | ||
교육의 기회균등과 교육평등 | 교육의 기회균등과 교육평등 | |||
9. | 쟁점토론1-고교평준화정책 | <토론> 교육조건 평등정책의 하나인 고교평준화정책의 성과와 한계, 각자의 입장은? | ||
쟁점토론1-고교평준화정책 | <토론> 교육조건 평등정책의 하나인 고교평준화정책의 성과와 한계, 각자의 입장은? | |||
10. | 학업성취 격차 | 학업성취 격차의 결정요인 | ||
학업성취 격차 | 학업성취 격차의 결정요인 | |||
11. | 교육의 사회적 기능 | 교육과 선발 | ||
교육과 선발 | 교육과 선발 | |||
12. | 쟁점토론2-Affirmative Action | 고교평준화정책 | ||
13. | 교육의 사회적 기능 | 교육과 사회이동, 학벌사회, 옹호론과 반대론 | ||
교육의 사회적 기능 | 교육과 사회이동, 학벌사회, 옹호론과 반대론 | |||
14. | 교육개혁의 동향 |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의 특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