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살인의 죄1
|
1. 살인죄의 객관적 구성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
2. 살인죄의 주관적 구성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
3. 살인죄의 유형별 법적 쟁점을 이해할 수 있다. |
|
|
|
살인의 죄2
|
1. 살인죄의 유형별 차이점을 구분할 수 있다.
2. 살인죄의 유형별 법적 쟁점을 이해할 수 있다. |
|
|
|
상해죄
|
1. 상해죄의 구성요건을 이해할 수 있다.
2. 상해죄의 위법성에 관하여 설명할 수 있다.
3. 기타 상해 관련 범죄를 이해할 수 있다. |
|
2. |
|
폭행의 죄
|
1. 폭행죄의 구성요건을 이해할 수 있다.
2. 폭행의 개념에 관하여 설명할 수 있다.
3. 특수폭행죄의 주요쟁점을 이해할 수 있다. |
|
|
|
과실치사상의 죄
|
1. 과실치사상죄에서의 과실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
2. 업무상 과실치사상 죄의 업무 개념 및 업무상 과실을 이해할 수 있다.
3. 중과실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 |
|
|
|
낙태의 죄
|
1. 낙태죄 및 낙태관련 죄목의 구성요건을 이해할 수 있다.
2. 낙태의 위법성 조각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3. 낙태의 공범 및 타죄와의 관곌,ㄹ 이해할 수 있다. |
|
3. |
|
유기와 학대의 죄
|
1. 유기죄의 주체에 대해 이해하고 사례를 판단할 수 있다.
2. 학대죄의 구성요건을 이해할 수 있다.
3. 유기 및 학대의 기본범죄와 관련된 범죄 사이의 차이점을 이해할 수 있다. |
|
|
|
협박의 죄
|
1. 형법상 협박의 개념을 구분하고 이해할 수 있다.
2. 협박죄의 구성요건을 이해할 수 있다.
3. 협박죄의 위법성 조각사유를 이해할 수 있다. |
|
|
|
강요의 죄
|
1. 형법상 강요죄의 구성요건을 이해할 수 있다.
2. 강요죄의 행위인 폭행 또는 협박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다.
3. 관련된 범죄들을 이해할 수 있다. |
|
4. |
|
체포와 감금의 죄 약취와 유인의 죄
|
1. 체포와 감금의 죄와 관련된 법적 쟁점을 이해할 수 있다.
2. 약취와 유인의 죄와 관련된 법적 쟁점을 이해할 수 있다. |
|
|
|
강간과 추행의 죄1
|
1. 강간죄의 객관적 구성요건을 이해할 수 있다.
2. 유사강간죄의 객관적 구성요건을 이해할 수 있다.
3. 강간죄와 타죄와의 관계, 유사강간죄와 타죄와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
|
|
|
강간과 추행의 죄2
|
1. 강제추행죄의 객관적 구성요건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2. 준강간죄, 준강추행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미성년자의제강간죄의 객관적 구성요건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4. 강간상해·치상죄, 강간살인·치사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5. |
|
명예에 관한 죄1
|
1. 명예훼손죄의 객관적 구성요건 중 공연성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다.
2. 명예훼손죄에서 의미하는 명예의 내용 및 행위태양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다.
3. 명예훼손죄의 특별한 위법성조각사유를 설명할 수 있다. |
|
|
|
명예에 관한 죄2
|
1. 사자에 대한 명예훼손죄의 객관적 구성요건을 설명할 수 있다.
2. 출판물에 의한 명예훼손죄의 주관적/객관적 구성요건을 설명할 수 있다.
3. 모욕죄와 명혜훼손죄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모욕죄의 구성요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
|
신용, 업무와 경매에 관한 죄1
|
1. 신용훼손죄의 객관적 성립요건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2. 업무방해죄의 업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6. |
|
신용, 업무와 경매에 관한 죄2
|
1. 업무방해죄의 행위태양인 위계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2. 업무방해죄의 행위태양인 위력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3. 업무방해죄의 행위태양인 업무방해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
|
|
|
주거침입의 죄1
|
1. 주거침입죄의 객체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2. 주거침입죄의 행위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다. |
|
|
|
주거침입의 죄2
|
1. 주거침입죄의 착수시기와 기수시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주거침입죄의 위법성조각사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퇴거불응좌의 착수시기와 기수시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7. |
|
재산죄의 기초이론1
|
1. 재산죄의 객체인 재물 및 재산상 이익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다.
2. 형법상 점우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3. 불법영득의사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
|
|
|
재산죄의 기초이론2
|
1. 사용절도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
2. 친족상도례의 적용가능성을 판단하고 적용할 수 있다. |
|
|
|
절도의 죄
|
1. 절도죄의 객관적 구성요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절도죄의 죄수 문제를 이해할 수 있다. |
|
8. |
|
절도의 죄2
|
1. 야간주거칩입절도죄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다.
2. 특수절도죄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다.
3. 자동차 등 불법사용죄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다. |
|
|
|
강도의 죄1
|
1. 강도의 죄의 객관적 구성요건을 이해할 수 있다.
2. 강도의 죄의 죄수 관련 문제를 이해할 수 있다. |
|
|
|
강도의 죄2
|
1. 특수강도죄의 구성요건을 이해할 수 있다.
2. 준강도 및 준특수강도죄의 구성요건을 이해할 수 있다. |
|
9. |
|
사기의 죄1
|
1. 사기죄의 객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사기죄의 구성요건요소인 기망행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
|
사기의죄2
|
1. 사기죄 상 착오에 관하여 설명할 수 있다.
2. 사기죄 상 처분행위에 관하여 설명할 수 있다.
3. 사기죄와 관련된 죄수문제를 이해할 수 있다. |
|
|
|
횡령의 죄1
|
1. 횡령죄의 주체와 관련된 쟁점을 이해할 수 있다.
2. 횡령죄의 객체와 관련된 쟁점을 이해할 수 있다. |
|
10. |
|
횡령의 죄2
|
1. 횡령죄의 행위요소인 횡령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2. 횡령죄 상의 불법영득의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3. 업무상 횡령죄와 점유이탈물 횡령죄를 설명할 수 있다. |
|
|
|
배임의 죄1
|
1. 배임죄의 주체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2. 배임죄의 행위태양인 배임행위, 재산상의 이익 취득, 재산상의 손해 발생 등과 관련된 쟁점을 이해할 수 있다. |
|
|
|
배임의 죄2
|
1. 배임죄 주관적 구성요건, 죄수문제 및 타죄와의 관계 상 쟁점을 이해할 수 있다.
2. 배임수재죄와 배임증재죄의 구성요건을 설명할 수 있다. |
|
11. |
|
장물에 관한 죄
|
1. 장물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
2. 장물죄의 행위태양인 취득, 양도, 운반, 보관 및 알선 등과 관련된 쟁점을 이해할 수 있다. |
|
|
|
손괴에 관한 죄
|
1. 손괴죄의 객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손괴죄의 행위 태양인 손괴, 은닉, 기타방법과 관련된 쟁점을 이해할 수 있다. |
|
|
|
권리행사를 방해하는 죄
|
1. 권리행사방해죄의 객체와 행위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2. 점유강취죄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3. 강제집행면탈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12. |
|
방화의 실화의 죄
|
1. 방화의 죄에 대한 객관적 요소를 이해할 수 있다.
2. 방화에 관련된 각 죄의 차이점을 이해할 수 있다. |
|
|
|
통화에 관한 죄
|
1. 내국통화 위조 및 변조
2. 내국유통 외국통화 위조 및 변조
3. 외국통용 외국통화 외조 및 변조
4. 위조변조 통화 행사죄
5. 통화 위조변조 예비 음모죄 |
|
|
|
유가증권에 관한 죄
|
1. 유가증권 위변조죄의 객체 및 행위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2. 위조 등 유가증권 행사등의 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13. |
|
문서에 관한 죄
|
1. 형법상 문서의 개념과 종류를 이해할 수 있다.
2. 사문서 위조 변조죄의 "위조"에 해당하는 사례들을 구별할 수 있다. |
|
|
|
문서에 관한 죄2
|
1. 공문서 위변조의 죄 및 허위공문서 작성죄의 객관적 구성 요건을 이해할 수 있다.
2. 허위 진단서 작성죄의 쟁점을 이해할 수 있다. |
|
|
|
문서에 관한 죄3
|
1. 공정증서원본 등 부실기재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위조 · 변조 · 작성 사문서 행사죄를 이해할 수 있다. |
|
14. |
|
공무원의 직무에 관한 죄1
|
1. 직무유기죄의 행위태양에 관한 쟁점을 이해할 수 있다.
2. 공무상 비밀누설죄의 객체인 비밀의 개념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
|
|
|
공무원의 직무에 관한 죄2
|
1. 직권남용죄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2. 불법체포 · 감금죄를 이해할 수 있다. |
|
|
|
뇌물죄1
|
1. 뇌물의 요건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2. 뇌물의 몰수와 추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
|
15. |
|
뇌물죄2
|
1. 수뢰죄의 구성요건을 이해할 수 있다.
2. 알선수뢰죄의 구성요건을 이해할 수 있다. |
|
|
|
공무집행방해죄
|
1. 공무집행방해죄의 구성요건요소인 "직무집행"에 대한 쟁점을 이해할 수 있다.
2. 공무집행방해죄 상의 행위 요건을 이해할 수 있다. |
|
|
|
위증과 증거인멸의 죄
|
1. 위증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다.
2. 증거인멸의 죄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