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동북아경제협력론 교과목 소개 및 오리엔테이션 |
동북아지역의 경제적 위상, 동북아경제협력론을 배우는 목적, 동북아의 향후 전망 |
|
|
|
동북아경제협력론 교과목 소개 및 오리엔테이션 |
동북아지역의 경제적 위상, 동북아경제협력론을 배우는 목적, 동북아의 향후 전망 |
|
2. |
|
동북아경제와 동북아지역 경제협력방안고찰 |
동북아 역내3국인 한국, 중국, 일본의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배우고, 동북아경제협력의 중요성을 살펴 봄. |
|
|
|
동북아경제와 동북아지역 경제협력방안고찰 |
한국, 중국, 일본 간의 경제협력 현황과 경제협력의 필요성 고찰 |
|
3. |
|
세계경제개관과 이해1 |
21세기 세계경제의 흐름과 함게 경제규모, 지역별 비중, 향후 전망 등 고찰 |
|
|
|
세계경제개관과 이해2 |
세계경제를 이끌고 있는 미국경제의 흐름과 EU 경제, BRICs 국가들 |
|
4. |
|
한국경제개황 및 동북아경제현황1 |
한국과 동북아국가들 간의 경제협력현황과 동북아경제개관 |
|
|
|
한국경제개황 및 동북아경제현황2 |
한국경제발전과정 및 동북아지역 국가 경제개관 |
|
5. |
|
중국경제의 이해1(중국경제개관 및 경제정책) |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와 농업문제, 기술격차해소 및 외화보유액 급증과 기술이전, F야 |
|
|
|
중국경제의 이해1(중국경제개관 및 경제정책) |
중국 연안도시의 급격한 경제성장과 기술발전, 외환보유액 증대 등을 살펴 봄으로써 향후 중국의 미래상을 분석해 봄. |
|
6. |
|
중국경제의 이해2(지역별 경제현황과 진출전략) |
경제대국이 된 중국의 경제발전 원인과 경제발전에 따른 문제점, 개혁개방정책 추진, 동부연안도시, 지역간 소득격차 |
|
|
|
중국경제의 이해2(지역별 경제현황과 진출전략) |
21세기 들어서도 급속한 경제발전을 지속하고 있는 중국경제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한국의 입장 등을 살펴 봄 |
|
7. |
|
일본경제의 이해1(일본경제개관 및 경제정책) |
전후 일본의 경제발전과정, 고도성장기, 산업의 비약적 발전 |
|
8. |
|
일본경제의 이해2(일본의 경제발전과정과 통상여건) |
최근 일본의 불황원인과 배경, 일본경제의 장기적 전망 |
|
|
|
일본경제의 이해2(일본의 경제발전과정과 통상여건) |
종신고용, 연공서열제 등이 일본의 산업에 미치는 영향, 향후 전망 노동력 부족과 산업공동화 |
|
9. |
|
일본경제의 이해3(산업 및 공업지대, 한일간의 경제협력필요성) |
일본의 공업지역, 한일간의 경제협력강화 필요성 |
|
|
|
일본경제의 이해3(산업 및 공업지대, 한일간의 경제협력필요성) |
국제경쟁력 약화와 산업공동화현상, 고령화 및 소자화현상 |
|
10. |
|
홍콩, 마카오, 대만 등 중화경제권 경제개관 및 통상여건 |
대만, 홍콩, 마카오 경제에 대한 이해 |
|
|
|
홍콩, 마카오, 대만 등 중화경제권 경제개관 및 통상여건 |
홍콩, 마카오 등 특별행정구 경제정책, 대만의 중국의존심화현상 |
|
11. |
|
북한, 몽골경제의 이해와 진출방안 |
북한은 우리와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음. 그런 차원에서 북한경제 이해가 필요함. |
|
|
|
북한, 몽골경제의 이해와 진출방안 |
몽골경제의 이해, 몽골의 지하자원 |
|
12. |
|
한중간 경제협력현황과 증진방안 |
중국은 G2의 하나가 되었음. 앞으로도 지속적인 원활한 관계 유지가 필요 |
|
|
|
한중간 경제협력현황과 증진방안 |
중국은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경제 파트너. 향후 양국간의 경제협력 증대를 위한 상호 노력 필요성 |
|
13. |
|
한일간 경제협력현황과 증진방안 |
일본과의 경제협력 강화를 통해 지속적인 경제발전 도모할 필요성 있음. 역사논쟁, 종군위안부문제 등 많지만 장기적으로는 서로 협력해야 할 나라임. |
|
|
|
한일간 경제협력현황과 증진방안 |
일본과의 경제협력 강화를 통해 지속적인 경제발전 도모할 필요성 있음. 역사논쟁, 종군위안부문제 등 많지만 장기적으로는 서로 협력해야 할 나라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