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
문화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오혜재 2차 대전 이후 본격화된 국제사회의 개발원조는 초기에는 서구의 몇몇 강대국들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지만, 점차 선진국-개발국 간 상호 협력 및 이해를 추구하면서 공적개발원조(ODA)라는 체계를 발전시키게 된다. 한국전쟁 직후 한국은 개발원조의 주요 수혜국이었지만, 불과 반세기만에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으로 발전하면서 ‘공여국’으로서의 역할을 본격적으로 수행하기 시작했다. 특히 범세계적으로 지속가능발전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그 핵심 수단으로서 ‘문화와 발전’ 패러다임이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인 유네스코(UNESCO)를 중심으로 구축․활성화되어 왔다. | ![]() |
2. | ![]() |
음악과 공연 | 김세광, 현 CBS 음악FM부장, 라디오 프로듀서 전 CBS 공연기획센터장 1. 올림픽, 월드컵 등 스포츠 이벤트의 개막식 의미 - 가장 큰 규모의 공연 - 전세계인이 주목하는 공연 - 개최국의 문화 수준과 역량 2. 올림픽 개막식을 통해서 본 문화유산의 발현 - 베이징 올림픽 - 런던 올림픽 - 소치 동계 올림픽 3. 2002년 한일 월드컵 개막식을 통해본 우리의 문화 4.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 개막식을 통해본 우리 문화 5.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 어떤 문화를 전할까? | ![]() |
3. | ![]() |
한지의 특성과 한지의상의 아름다움 | 강사 : 이봉자 약력 : - 시민센터 홈패션출장 - 상지영서대학 의상학 출강 - 상지영서대학 평생교육원 출강 - 임산예지 태교 바느질 수업 - 원주 한지 대전 특선 - 원주 한지 대전 아이디어 공모 수상 열림과 어울림 그리고 융합의 코드인 한국문화. 그중에서 한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것들을 어울림의 미학으로 발전시키는 한지의 매력에 대해서 알아보고 더 나아가 한지가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과 가치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 | ![]() |
4. | ![]() |
콘텐츠산업현황과 창조기업가 | 한국의 콘텐츠 산업 현황을 알아보고, 세계적인 흐름과 그 영향력을 알아본다. - 콘텐츠 관련 창조 기업가에 대하여. | ![]() |
5. | ![]() |
한국방송포맷 수출 | 2014년에 이어 2015년 방송 콘텐츠 업계 최고의 화두는 바로 ‘포맷’이다. 포맷은 작게는 한 프로그램의 아이디어와 구성에서부터 넓게는 프로그램의 기획부터 송출 전반까지를 포함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한류 4.0이라 일컫는 ‘포맷 산업’의 실체는 과연 무엇이고, 세계로 진출하는 한국 포맷은 무엇이 있고, 또 어떠한 형태로 진출하는 지 살펴보고자 한다. | ![]() |
6. | ![]() |
세계 속 한국미술관의 위상 | 왜 우리는 세계 속의 한국문화를 살펴보아야 하는가? 우리가 보여주는 한국문화는 무엇인가? 우리는 무엇을 보여줄 것인가? 미술을 통해 읽어 볼 수 있는 한국 문화와, 한국의 위상을 위한 미술과 우리의 역할을 생각해보고자 한다. | ![]() |
7. | ![]() |
세계 속의 한글 | 한글 세계화를 주제로 1. 한글, 한국어 교육의 해외보급 2. 한글 콘텐츠의 세계적 브랜드화를 소개하고 이를 통해 한국을 브랜드화하는 것으로 확장해 가자는 내용임 | ![]() |
8. | ![]() |
한류의 현주소 | 본 강의는 세계시장에서의 한류콘텐츠 현황을 살펴보고 그로 인한 파급효과를 고찰한다. 또한 한류콘텐츠의 해외진출 전략과 인기요인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한류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 정부차원에서의 정책 방향, 민간차원에서의 교류 활성화 등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 ![]() |
9. | ![]() |
해외 기업투자자가 바라보는 한국문화 | 해외에서 본 한국 문화를 우리나라 경제위상 및 ICT의 발전과 연결하여 검토한다. 또한 한류 현상이 국가 브랜딩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살펴본다. 콘텐츠나 기술의 성공 또는 실패 사례를 들고 앞으로 문화콘텐츠를 창조하는데 있어 간과할 수 없는 키워드를 생각해본다. | ![]() |
10. | ![]() |
문화상품으로 재탄생하여 수출되는 방송콘텐츠 | 최근 전 세계적인 각광을 받는 K-Culture, 그 중 방송 프로그램(드라마, 예능 프로그램)의 성공 요인과 향후 전망을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풀어본다. 아울러 방송 프로그램의 인기를 K-Culture 전반적인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와, 이런 한류의 성공을 지속시키기 위한 방송사의 정책을 살펴본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