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국가안보의 이해 1 |
- 과목진행 개요
- 국가의 개념
- 국가안보의 중요성
- 국가안보의 개념 |
|
|
|
국가안보의 이해 2 |
- 국가이익의 개념
- 국가안보 개념의 변화
- 국가안보 연구 패러다임 |
|
2. |
|
전쟁과 위기관리 1 |
- 전쟁이란?
- 전쟁의 원인
- 전쟁의 유형
- 군사력 이란? |
|
|
|
전쟁과 위기관리 2 |
- 군사력의 기능
- 위기관리 개념
- 위기관리 절차
- 한국의 위기관리 체계 |
|
3. |
|
자력방위론 1 |
- 자력방위의 개념
- 자력방위의 유형
- 중립국 / 비동맹국 |
|
|
|
자력방위론 2 |
- 북한의 자력방위
- 한국의 자력방위 |
|
4. |
|
군사동맹론 1 |
- 동맹의 개념
- 동맹의 목적
- 동맹의 분류 |
|
|
|
군사동맹론 2 |
- 군사동맹의 조건
- 동맹의 원칙
- 동맹의 변화/관리 |
|
5. |
|
집단안보 |
- 집단안보의 개념
- 집단안보 형성 배경
- 집단안보의 역할과 한계 |
|
|
|
평화유지활동 |
- 평화유지활동의 개념
- 평화유지활동의 원칙
- 국가안보 유지 방안 |
|
6. |
|
군비통제 1 |
- 군비통제의 개념
- 국가안보와 군비통제
- 군비통제의 목적, 기능 |
|
|
|
군비통제 2 |
- 군비통제의 분류
- 군비통제 단계 및 절차
- 한국의 군비통제 정책 |
|
7. |
|
군사변혁론 |
- 군사혁신/군사변혁의 개념
- 군사변혁의 배경
- 주변 4강의 군사변혁 방향 |
|
|
|
국방개혁 2030 |
- 국방개혁 목표 및 기본 방향
- 군 구조 개혁
- 국방 운영 개혁 |
|
8. |
|
안보정책 결정론 |
- 안보정책 분석틀
- 안보정책의 결정과정
- 안보정책 결정 모형 |
|
|
|
국방기획관리제도 |
- 국방기획의 개념
- 국방기획의 체계 / 유형
- 국방기획 관리제도 |
|
9. |
|
북한의 실상과 위협 1 |
- 북한의 실상
- 위협의 실체
- 비대칭전력 |
|
|
|
북한의 실상과 위협 2 |
- 북한의 핵 위협
- 내부의 위협
- 민족 공조론의 실체 |
|
10. |
|
한반도 주변정세 |
- 주변국의 군사력
- 주변국의 안보정책
- 주변국간 영토분쟁 |
|
|
|
한미동맹 |
- 한미동맹의 역사
- 한미연합방위체제
- 한미동맹의 발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