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모두를 위한 열린 강좌 KOCW

주메뉴

  • 주제분류
    사회과학 >사회과학기타 >사회학
  • 강의학기
    2010년 2학기
  • 조회수
    3,250
  • 평점
    5/5.0 (1)
이 강좌는 한국사 분야의 시대별 강좌의 하나로 고려시대를 다룬다. 고려 전기에는 중앙권력과 지방권력의 균형 위에서 고유한 문화 전통과 중국의 정치 제도가 결합된 새로운 통치 질서를 성립시켰다. 전기 문벌귀족의 부패와 무능력은 중기 무신정권이 극복하였으며, 무신정권의 강건함은 몽고의 침략에 장기간 저항할 수 있는 힘이 되었다. 후기 원간섭기에는 자주성이 크게 훼손되었지만 고려인의 활동 무대가 제국 차원으로 넓어져 새로운 학문을 수용하고 보편적인 세계관을 갖추게 되었다. 학생들은 고려의 균형과 역동성을 접하고, 국제적 관점에서 고려사의 전개과정을 살핌으로써 현실사회를 판단하고 미래를 전망하는 능력을 갖출 것이다.

차시별 강의

PDF VIDEO SWF AUDIO DOC AX
1. 문서 고려의 건국과 체제정비 태조~경종에 이르는 시기 고려의 건국과 체제 정비 과정을 학습한다. URL
2. 문서 성종의 ‘중국질서’ 수용과 체제 정비 성종이 최승로의 건의를 수용하여 추진한 체제정비 과정을 사상적인 측면과 제도적인 측면을 함께 고려하며 학습한다. URL
3. 문서 현종의 출신 배경과 체제 정비 현종의 출신배경을 고려 왕실의 혼인 관행과 결부하여 이해하고 현종 즉위의 역사적 의미를 파악하며, 현종대에 추진된 체제정비에 대해 학습한다. URL
4. 문서 고려 전기의 정치체제와 국제관계에 대한 인식 고려 전기 성종과 현종대를 거치면서 이룩된 정치체제의 구조와 특징을 중앙과 지방을 구분하여 살펴보고 고려인의 국제관계에 대한 인식을 학습한다. URL
5. 문서 덕종~인종 때의 주요 인물 분석 덕종 이후의 정치는 성종과 현종의 노력으로 구축된 질서에 기반하여 안정적으로 진행되었다. 이 시기에 활동한 주요 인사들의 특징을 통하여 고려 전기의 정국을 이해한다. URL
6. 문서 예종~인종 때의 정책과 정국 고려 전기의 안정된 정치질서가 문벌귀족이 비대해짐에 따라 위협을 받게 되는 과정을 살피고 이에 대항한 예종과 인종의 정책 추진과 실패를 학습한다. URL
7. 문서 무신정변과 이중정권의 성립 무신정변이 발생한 배경과 경과, 이후의 혼란과 최씨정권에 의한 수습과정을 살피고 무신정권의 구조적 특징와 장점을 이해한다. URL
8. 문서 중간고사 URL
9. 문서 대몽항쟁 몽고의 흥기에 대해 개관하고 고려와 국교를 맺게 된 계기와 그 경과를 살핀 뒤, 대몽항쟁 과정에 대해 학습한다. URL
10. 문서 대몽 강화와 삼별초의 난(항쟁) 몽고의 극심한 침략과 회유가 병행되는 과정과 고려의 강화 결심 및 실행에 대해 살펴보고 삼별초의 봉기 배경과 과정을 삼별초 군의 성격과 결부하여 학습한다. URL
11. 문서 원 간섭기의 정국(충렬왕) 고려전기와 근본적으로 달라진 원 간섭기의 국제질서를 개관하고 이러한 상황 속에서 충렬왕이 국가와 왕권을 지키기 위해 추진했던 정책의 내용과 성격을 학습한다. URL
12. 문서 원 간섭기의 정국(충선왕~충혜왕) 고려가 자주성이 훼손되고 국왕이 자존 의식을 잃어가는 과정을 원의 간섭과 결부하여 학습한다. URL
13. 문서 공민왕의 개혁정치와 좌절 공민왕의 즉위 배경과 즉위 시 국내의 상황을 살피고, 국제질서의 급격한 변동 속에서 공민왕이 추진한 개혁정치의 내용과 성격을 학습한다. URL
14. 문서 우왕 이후의 정국과 고려의 멸망 우왕대의 정국을 국제관계의 변동 및 국내 제 정치세력의 갈등과 결부하여 살피고 고려가 멸망하게 되는 과정을 학습한다. URL
15. 문서 고려의 유학과 불교 고려의 양대 사상이었던 유학과 불교를 고려 전기와 후기의 성격 변화에 집중하여 학습한다. URL

연관 자료

loading..

사용자 의견

강의 평가를 위해서는 로그인 해주세요. 로그인팝업

이용방법

  • 울산대학교 이러닝지원센터 연계강의
    강의 이용시 필요한 프로그램 [바로가기]

    ※ 강의별로 교수님의 사정에 따라 전체 차시 중 일부 차시만 공개되는 경우가 있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이용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