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모두를 위한 열린 강좌 KOCW

주메뉴

강의사진
  • 주제분류
    인문과학 >인문과학기타 >인문학
  • 강의학기
    2015년 2학기
  • 조회수
    7,674
  •  
강의계획서
강의계획서
2011년 조사에 의하면 2010년 전국 대학교 콘텐츠 또는 문화콘텐츠 관련 학과수는 1,478개로 밝혀졌다. 그리고 전국 전문계 고등학교 중 콘텐츠 관련 학과수는 258개이다. 명실공이 우리가 사는 시대가 문화의 세기이며 콘텐츠웨어의 시대임을 보여주는 수치이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아직 학계에서는 이러한 학문적 추세를 전체적으로 아울러 문화콘텐츠 학을 정립하려는 시도가 보이지 않고 있다. 이 강의에서는 문화콘텐츠학을 학문으로서 정립해보려고 시도할 것이다. 기존의 연구들을 종합 정리 분석하여 지금까지의 연구성과를 정리하고 그것들을 큰틀에서 보완하려 한다. 그러기 위해 콘텐츠가 무엇인지, 문화가 무엇인지, 문화콘텐츠가 무엇인지 등 원론적인 물음을 다시 제기한다. 그리고 문화콘텐츠의 독특한 차원과 구조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문화콘텐츠 학의 주제와 방법이 무엇인지를 밝혀본다.
오리엔테이션, 뉴미디어 시대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1)
배속
  • 이전차시
  • 다음차시

차시별 강의

PDF VIDEO SWF AUDIO DOC AX
1. 비디오 오리엔테이션, 뉴미디어 시대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1) 1. 매체의 변화에 따른 시대의 추이 2. 지구촌 새시대 전자문화의 충격 3.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변화와 심리적 의식의 출현 URL
비디오 뉴미디어 시대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2) 4. 뉴미디어 시대와 기표제국주의 5. 정보와 소통 6. 그물망적 패러다임과 문화주체로서의 대중 7. 대중을 위한 '미학'의 변형 URL
2. 비디오 한국 발(發) 문화콘텐츠학의 태동과 학문체제 재편의 필요성(1) 1. 문화의 시대 도래
2. 문화콘텐츠와 문화콘텐츠학의 등장 배경
3. 학문 체제 재편의 필요성과 문화콘텐츠학
URL
비디오 한국 발(發) 문화콘텐츠학의 태동과 학문체제 재편의 필요성(2) 4. 문화콘텐츠학의 학문적 체계 정립의 필요성
5. 문화콘텐츠학의 학문적 체계정립을 막는 요인들
6. 왜 문화콘텐츠인가?
URL
3. 비디오 뉴미디어 시대 콘텐츠가 관건이다(1) 1. 콘텐츠가 바꿔놓은 산업 지형도 2. 콘텐츠란 무엇인가? 3. 콘텐츠 무엇을 품고 있는가? URL
비디오 뉴미디어 시대 콘텐츠가 관건이다(2) 4. 뉴미디어 시대의 기술과 예술 5. 뉴미디어 시대의 인간조건 6. 예술과 미디어 7. 대중문화와 새로운 예술의 시대 개막 URL
4. 비디오 변화된 인간조건: 문화인의 문화생활(1) 1. 시대에 따라 변해온 '문화'의 의미 2. 문화는 소통이다 URL
비디오 변화된 인간조건: 문화인의 문화생활(2) 3. 문화의 바탕과 문화적 지향성 4. 문화인을 위한 문화콘텐츠 5. 문화생활은 멋들어진 삶, 멋스러운 삶이다 URL
5. 비디오 문화정체성과 문화 만들기(1) 1. 문화 정체성 2. 문화 주체의 문화 만들기 URL
비디오 문화정체성과 문화 만들기(2) 3. 문화의 시대 보이지 않는 자기 자신과의 관계가 중요하다 4. 학문의 식민지화에서 벗어나기 - 문화 정체성을 찾기 위한 몸부림 5. 문화에 대한 자긍심과 회복을 통한 문화 주체성 확립 6. 작은 곳에서 소수의 사람들로부터 시작되는 작은 문화행위 URL
6. 비디오 문화콘텐츠학의 자리매김에 따르는 어려움(1) 1. 정부 주도의 법적 "문화콘텐츠" 개념과 그 문제점 2. 학계에서의 "문화콘텐츠" 개념 규정 시도 URL
비디오 문화콘텐츠학의 자리매김에 따르는 어려움(2) 3. "문화콘텐츠"에 대한 새로운 개념 규정 시도 URL
7. 비디오 문화콘텐츠학의 이념 검토(1) 1. 문화콘텐츠학의 이념 검토 2. 활용론의 관점 3. 응용인문학의 관점 URL
비디오 문화콘텐츠학의 이념 검토(2) 4. 유희론의 관점 5. 문화콘텐츠 연구의 성과와 과제 URL
8. 비디오 문화콘텐츠학의 연구 영역과 방법론 모색(1) 1. 우리는 현실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는가? 2. 홀로주체에서 서로주체로 URL
비디오 문화콘텐츠학의 연구 영역과 방법론 모색(2) 3. 학문[과학]과 방법의 세 가지 연관성 4. 존재론적 방법과 인식론적 방법5. 현대의 학문론과 방법론 6. 미디어 현실과 커뮤니케이션[소통]학의 필요성 URL
9. 비디오 소통의 문화콘텐츠학의 시대적 필요성(1) 1. 지구촌 시대의 지구 운명공동체 2. 리프킨의 공감인: 호모 엠파티쿠스 3. 공감적 소통과 공감의 문명 URL
비디오 소통의 문화콘텐츠학의 시대적 필요성(2) 4. 전자 시대 미디어가 구성하는 현실 5. 커뮤니케이션학의 등장 6. 플루서의 소통학 URL
10. 비디오 소통의 현실과 소통의 인간[사이-존재]. 소통의 경험과 소통의 검증(1) 1. '현실'에 대한 관점의 변천과 학문론 2. '소통'은 사이-존재인 인간의 사이하기 URL
비디오 소통의 현실과 소통의 인간[사이-존재]. 소통의 경험과 소통의 검증(2) 3. 대상으로서 문화콘텐츠 인식과정 4. 학문적 소통의 검증: 공지성(공론장) 그리고 검증 또는 반증원리 URL
11. 비디오 소통학으로서 문화콘텐츠학의 자리매김(1) 1. 목적론 URL
비디오 소통학으로서 문화콘텐츠학의 자리매김(2) 2. 대상론 3. 방법론 4. 소통의 문화콘텐츠학 구조 URL
12. 비디오 소통의 문화콘텐츠학 연구방법론과 분류(1) 1. 기획론과 소통의 차림론 2. 차림의 사례: 문화적 정체성을 통한 관광의 기획 3. 제작론과 소통의 새김론 4. 새김의 사례: 탈코드화의 멋으로서 지식과 사물 URL
비디오 소통의 문화콘텐츠학 연구방법론과 분류(2) 5. 활용론과 소통의 돌림론 6. 돌림의 사례: 삶을 보여주고 이어주는 축제와 옛길 7. 분석론과 소통의 되새김론 8. 되새김의 사례: 조총련 재일동포 모국방문과 수단의 이태석 신부 URL
13. 비디오 문화의 세기를 위한 통합학문(1) 1. 한국 문화의 지구지역화(Glocalization)와 문화콘텐츠학 2. 문화적 지구화와 통합적 세계관 URL
비디오 문화의 세기를 위한 통합학문(2) 3. 통합(通合) 학문으로서 문화콘텐츠학 4. 소통의 문화콘텐츠학을 위한 학문체제의 전망 URL
14. 비디오 커뮤니케이션학을 넘어 글로벌 소통학으로(1) 1. 뉴미디어가 여는 새로운 소통의 지평 2. 문화적 맥락과 커뮤니케이션(소통) 3. 서구인의 커뮤니케이션 URL
비디오 커뮤니케이션학을 넘어 글로벌 소통학으로(2) 4. 커뮤니케이션학의 형성 5. ‘소통’은 사이-존재인 인간의 사이하기 6. 글로벌 소통학을 지향하며 URL

연관 자료

loading..

사용자 의견

강의 평가를 위해서는 로그인 해주세요.

이용방법

  • 동영상 유형 강의 이용시 필요한 프로그램 [바로가기]


    ※ 강의별로 교수님의 사정에 따라 전체 차시 중 일부 차시만 공개되는 경우가 있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이용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