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
소개 | 1. 소개 | ![]() |
![]() |
과목의 목표 | 1. 과목의 목표 | ![]() |
|
2. | ![]() |
한국 가족의 사회인구학적 변화 | 1. 한국 가족의 사회인구학적 변화 | ![]() |
3. | ![]() |
친밀성과 결혼 I | 1. 연애의 문화적 각본 2. 친밀한 관계를 구성하는 요소들 3. 연애의 문화적 각본에 대한 여성주의적 주안점 4. 친밀성의 변화로 인한 독신의 확대 5. 현대 한국 사회에서 연애의 문화적 각본의 연속과 단절 | ![]() |
4. | ![]() |
친밀성과 결혼 II | 1. 연애의 환상이 결혼 생활의 불평등을 어떻게 낭만화시키는가? 2. 한국 결혼의 변화 양상 3. 결혼과 가족에서의 불평등한 교환 4. 한국 가족에서 성적으로 불평등한 권력 구조 | ![]() |
5. | ![]() |
친밀성과 결혼 III | 1. 친밀성이 상품화되는 예 2. 감정자본주의 3. 친밀성과 결혼의 변형을 이끄는 사회적 맥락 4. 여성은 친밀성과 결혼의 상품화를 어떻게 경험하는가 | ![]() |
6. | ![]() |
가정에서 성별화된 노동 | 1. 산업화 과정에서 핵가족의 성별화된 역할 구조가 어떻게 표준화되는가 2. 한국 가족에서 성별화된 역할 구조의 연속과 단절 3. 한국 가족에서 성별화된 역할 구조를 유지하게 만드는 것들은 무엇인가 4. 신자유주의 주부 주체화 담론들 5. 한국 가족의 변화들과 관련하여 신자유주의 주부 주체화 담론의 변동의 의미 | ![]() |
7. | ![]() |
모성 I | 1. 한국에서 모성 이데올로기가 구성되는 방법들 2. 모성 이데올로기의 여성주의적 주안점 3. 모성 이데올로기가 일상의 양육 경험에 주는 영향 4. 모성 이데올로기가 여성 개인과 가족 생활에 미치는 영향 5. 각 사회 계급마다 다른 여성의 양육 경험 | ![]() |
8. | ![]() |
모성 II | 1. 여성의 양육과 모성이 사회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구성과 재구성되는가 2. 소비자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과학적 모성' 3. '프로 엄마'와 '교육 매니저 엄마'의 이상 4. 대안적 모성 정체성 | ![]() |
9. | ![]() |
맞벌이 가정 | 1. 맞벌이 가정의 증가 2. 맞벌이 가정에서 여성의 경험 3. 일이 가정 생활에 미치는 영향 4. 사회 시스템이 어떻게 일과 가정 생활을 양립불가능하게 만드는가 5. 가족 구성원들이 일과 가정 생활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방법 | ![]() |
10. | ![]() |
계급, 젠더, 그리고 가족 | 1. 계급과 젠더로 조직된 불평등을 가족이 어떻게 재생산하는가 2. 계급과 젠더의 교차지점에서 여성의 다양한 경험 3. 각기 다른 계급의 가정에서 나타나는 명백한 차이점들 4. 각기 다른 계급의 가정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경험들 5. 여성가구주 가정의 이슈들 | ![]() |
11. | ![]() |
돌봄 위기 | 1. 돌봄 위기란 무엇인가 2. 케어 위기를 가속화하는 요인들 3. 돌봄 노동을 둘러싼 젠더 갈등 4. 돌봄 노동의 책임을 나누는 방법 5. 돌봄 위기를 중재하는 방법 | ![]() |
12. | ![]() |
글로벌 시대의 가족 다양화 | 1. 국제 결혼으로 인한 인구 변화 2. 사랑과 친밀함이 국제 결혼으로 상품화되는 방법 3. 결혼 이주에 대한 다른 시각들 4. 한국에서 결혼 이주에 대한 주요 담론들 5. 인종간 결혼과 다문화 가정 어린이들에 대한 이슈 | ![]() |
13. | ![]() |
21세기의 가족 정책 | 1. 가족 정책이란 무엇인가 2. 가족 정책의 영역과 목적 3. 가족 정책에 대한 여러 관점들 4. 건강가족법에서의 가족건강성 담론들 5. 일과 가정을 양립불가능하게 하는 가족 정책의 문제점들 6. 일과 가정을 양립가능하게 하는 정책 대안들 | ![]() |
14. | ![]() |
한국 가족의 미래 | 1. 인구학, 가족 가치관, 태도 등 한국 가족의 변화 2. 포스트모던 사회의 재배열 과정으로 인한 친밀성, 결혼, 돌봄의 변형 3. 이러한 변형이 전통적 젠더 위계와 가부장적 기준을 깨뜨린다면? 4. 이러한 변형이 자기 통제를 통해 가부장적 가족을 구성하거나 재구성한다면? 5. 가족 및 한국 가족의 미래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