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화학 분석의 과정 | 화학분석과정의 각 단계 설명 | ||
화학적 측정 (1) | 1. 단위 2. 농도 | |||
2. | 화학적 측정 (2) | 1. 화학량론적 계산 2. 적정 | ||
3. | 실험적 오차 (1) | 1. 유효숫자 2. 오차의 종류 | ||
실험적 오차 (2) | 1. 랜덤 오차 2. 계통적 오차 3. 오차의 전파 | |||
4. | 통계학 (1) | 1. Gauss 분포 2. 신뢰 구간 | ||
5. | 통계학 (2) | 3. Student의 t로서 평균의 비교 4. F시험으로 표준 편차 비교 | ||
통계학 (3) | 5. 좋지 않은 데이터에 대한 Q시험 6. 최소 제곱법 7. 검정 곡선 | |||
6. | 통계학 (4) | 7. 검정 곡선 | ||
7. | 품질보증과 검정 방법 (1) | 1. 품질보증의 기본 | ||
품질보증과 검정 방법 (2) | 2. 검증 방법 | |||
8. | 품질보증과 검정 방법 (3) | 2. 검증 방법 3. 표준물 첨가 4. 내부 표준 | ||
9. | 화학 평형 (1) | 1. 평형 상수 2. 평형과 열역학 | ||
10. | 화학 평형 (2) | 3. 용해도 곱 4. 착물 형성 | ||
11. | 화학 평형 (3) | 5. 양성자성 산과 염기 6. PH 7. 산과 염기의 세기 | ||
12. | 활동도와 평형의 체계적 처리 (1) | 1. 염의 용해도에 주는 이온 세기의 영향 2. 활동도 계수 3. PH 복습 | ||
활동도와 평형의 체계적 처리 (2) | 4. 평형의 체계적 처리 5. 평형의 체계적 처리의 응용 | |||
13. | 일양성자성 산-염기 평형 (1) | 1. 센 산과 센 염기 2. 약한 산과 약한 염기 3. 약한 산의 평형 | ||
14. | 일양성자성 산-염기 평형 (2) | 3. 약한 산의 평형 4. 약한 염기의 평형 5. 완충용액 | ||
일양성자성 산-염기 평형 (3) | 5. 완충용액 | |||
15. | 일양성자성 산-염기 평형 (4) | 5. 완충용액 | ||
16. | 다양성자성 산-염기 평형 (1) | 1. 이양성자성 산과 염기 2. 이양성자성 산의 완충용액 | ||
17. | 다양성자성 산-염기 평형 (2) | 3. 다양성자성 산과 염기 4. 어느 것이 주 화학종인가? 5. 분율 조성식 | ||
18. | 다양성자성 산-염기 평형 (3) | 4. 어느 것이 주 화학종인가? 5. 분율 조성식 6. 등전 pH와 등이온 pH |
||
19. | 산 염기 적정 (1) | 1. 센 산에 의한 센 염기의 적정 2. 센 염기에 의한 약한 산의 적정 |
||
산 염기 적정 (2) | 3. 센 산에 의한 약한 염기의 적정 4. 이양성자성계에서의 적정 5. pH 전극에 의한 종말점 검출 |
|||
20. | 산 염기 적정 (3) | 6. 지시약에 의한 종말점 검출 8. Kjeldahl 질소 분석법 |
||
21. | 산 염기 적정, EDTA 적정법 | 9. 평준화 효과 1. 금속 - 킬레이트 착물 2. EDTA |
||
EDTA 적정법 (1) | 3. EDTA 적정 곡선 | |||
22. | EDTA 적정법 (2) | 3. EDTA 적정 곡선 6. 금속 이온 지시약 7. EDTA 적정 방법 |
||
23. | 전기화학의 기본 원리 (1) | 전기화학의 개관 | ||
전기화학의 기본 원리 (2) | 1. 기본 개념 2. 갈비니 전지 |
|||
24. | 전기화학의 기본 원리 (3) | 3. 표준 전위 4. Nernst 식 |
||
25. | 전기화학의 기본 원리 (4) | 4. Nernst 식 5. E와 평형 상수의 관계 |
||
전기화학의 기본 원리 (5) | 6. 화학적 양의 측정 장치로서의 전지 7. 생화학자들이 이용하는 E |
|||
26. | 전극과 전위차법 (1) | 1. 기준 전극 2. 지시 전극 3. 접촉 전위란 무엇인가? 4. 이온 선택성 전극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
||
전극과 전위차법 (2) | 4. 이온 선택성 전극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5. 이온 선택성 전극 |
|||
전극과 전위차법 (3) | 5. 이온 선택성 전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