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모두를 위한 열린 강좌 KOCW

주메뉴

강의사진
  • 주제분류
    인문과학 >인문과학기타 >인문학
  • 강의학기
    2010년 2학기
  • 조회수
    8,313
  •  
1)교과목 개요(Course Description)오늘날 교통수단의 발달 및 경제의 글로벌화로 각기 다른 문화권의 여러 민족이 하나의 지구촌 공동체 안에서 어우러지게 되었고, 이러한 환경의 변화는 다문화적 삶의 공간을 생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기에 한국의 전통문화와 현대의 다양한 문화의 모습이 세계에 어떻게 소개되고 있으며, 앞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설명되고, 확산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우리가 당면하고 해결해] 가야할 절실한 과제이다. 이 수업은 우리문화를 올바로 이해하여 이를 해외에 널리 알리며, 확산시켜 나가는 문화교류의 리더를 교육하는 교과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과목은 세계 속에 우뚝 선 우리 문화의 미래를 주도적으로 만들어나갈 숙명인의 필수 교과목이라고 할 수 있다.



2)교육목표(Course Objective)본 수업의 목표는 한국의 언어, 미술, 음악, 춤, 음식, 공간문화, 대중문화, 생활문화 전반에 걸쳐 우리의 모습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학습하는 것은 물론, 각 분야의 명사들의 초청강의와 팀 프로젝트, 현장학습 등을 바탕으로 현대 생활 속에서 보편적 가치를 지닌 한국문화 콘텐츠를 찾아내고 이를 토대로 한국문화 세계화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차시별 강의

PDF VIDEO SWF AUDIO DOC AX
1. 비디오 (1)세계속의 우리음악공연 성공사례를 바탕으로 알아본 한국음악의 세계화: 변계원(숙명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한국음악 세계화의 대표적인 예(난타, 사물놀이, 황병기의 가야금)를 각각 살펴보고 이와 같은 양질의 콘텐츠를 발굴하여 세계화하기 위해서 필요한 자세를 논의해본다. URL
2. 비디오 (2)한국문화 세계화: 박기태(사이버 외교 사절단 반크 단장)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VANK)의 설립 배경과 지난 10년간 지구촌 곳곳에서 한국의 알리면서 겪었던 에피소드를 나눈다. 또한 세계인들에게 한국의 문화를 알리고, 국가 브랜드를 높이는 활동의 중요성과 학생들이 구체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을 이야기해본다. URL
3. 비디오 (3)조선의 미의식-천연지미(天然之美): 김개천(국민대학교 조형대학 ) 국민대 조형대학교수이며 디자이너이자 건축가인 김개천 교수는 한국 전통 건축물, 예술품의 아름다움을 설명하는 동시에 동양과 서양의 문화를 비교하여 한국의 정신을 이해하도록 돕는다. 철학적, 종교적인 맥락에서 우리 문화의 아름다움에 대해 풀어내면서 문화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URL
4. 비디오 (4)세계 속의 한국미술의 현황: 박아림(숙명여자대학교 미술대학) 세계 속의 한국미술의 현황을 미국의 대표적인 미술관의 한국미술품 전시와 뉴욕지역 한국 현대미술작가와 갤러리의 활동을 통하여 살펴본다. URL
5. 비디오 (5)한국 무용의 세계화: 정재만(숙명여자대학교 무용과) 한국 전통무용의 근원과 종류, 기본 원리를 알아보고 실제 공연을 감상해 본다. 학생들은 수업을 통해 전통무용의 멋과 아름다움을 생생하게 느낄 수가 있다. URL
6. 비디오 (6)세계 속의 한국: 한국·인도간의 문화교류를 중심으로: Pankaj Mohan(한국학중앙연구원) 인도와 한국은 지리적으로 가깝지 않지만 깊은 역사적, 정치적, 문화적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아주 오래 전부터 귀한 인연으로 묶여 있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약 2천년 전에 인도 아요디아국의 허황옥공주와 한국 가야국의 김수로왕이 결혼했던 인연이 있었다. 삼국유사 소재 인도설화를 역사적인 사실로 인정한 학풍과 달리 전 4-5세기경 표류되어 가야에 도착한 것으로 여겨진 인도여인이 어떻게 아요다국 공주로 승화되었는지 이 문제를 정밀하게 살피려고 한다. 한편 인도에서 형성된 불교문화는 4세기말과 6세기 초 사이에 고구려, 백제와 신라에 전래되어 고대 삼국 문화의 지평을 확대하고, 한국인들이 국제무대에서 중요한 일익을 담당할 수 있게끔 하는 데 있어 중추적 역할을 수행했다. 고대한국사에서 불교가 제시한 여러 상징, 즉 ‘轉輪聖王’, ‘菩薩’, ‘彌勒’ 등 어떻게 이용되어 중앙집권적 통일정책을 포함한 여러 가지 정치사업을 정신적으로 뒷받침하게 되었는지 이 문제를 이해하려고 한다. 조선의 숭유억불(崇儒抑佛) 정책으로 인하여 불교는 500년간 길고 긴 침묵에 빠져들 수밖에 없었는데 조선시대엔 한국과 인도간의 문화교류도 단절되었다. 그러나 20세기 전반기에 걸쳐 인도와 한국은 식민지배의 아픔을 함께 겪었으며 외세의 식민지로부터 해방된 근대국민국가 건설을 위해 다양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국의 지식인들에게 인도 독립의 ‘아버지'로 불리는 간디, 한국을 '동방의 등불'이라 찬미한 시성(詩聖) 타고르, 그리고 반영 독립운동에서 간디와 더불어 투쟁하여 해방 이후 인도의 초대수상에 취임한 네루(J. Nehru)는 큰 감명을 주었다. URL
7. 비디오 (7)판소리의 세계화 & 창극과 경극, 가부끼의 비교: 변계원 (숙명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본 강의에서는 판소리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보고, 판소리의 세계화를 위해 어떠한 전문가들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해 알아보고 그 미래의 방향에 대해 논의해 본다. 또한, 20세기 이후 판소리를 바탕으로 새롭게 한국 전통음악의 한 장르로 만들어 진 창극에 대해 알아보고 그것을 이웃나라인 일본과 중국의 비슷한 공연형태와 비교하면서 감상해 본다. 창극의 태동과 흐름과 역사에 대해 살펴본 후 일본의 가부끼와 중국의 경극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면서 각 나라의 문화가 가지고 있는 고유성과 민족성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URL

연관 자료

loading..

사용자 의견

강의 평가를 위해서는 로그인 해주세요. 로그인팝업

이용방법

  • 동영상 유형 강의 이용시 필요한 프로그램 [바로가기]


    ※ 강의별로 교수님의 사정에 따라 전체 차시 중 일부 차시만 공개되는 경우가 있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이용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