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동양철학개론 강의 개요 | 강의 개요와 불교사상의 핵심 | ||
동양철학 시간에 던져보는 48가지 질문 | 강의 개요와 불교사상의 핵심 | |||
불교의 유식론(唯識論) | 강의 개요와 불교사상의 핵심 | |||
2. | 노장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 | 노장의 자연주의 | ||
만물일체설(萬物一體說) | 노장의 자연주의 | |||
기(氣): 만물의 구성 요소 | 노장의 자연주의 | |||
음양오행(陰陽五行) | 노장의 자연주의 | |||
3. | 귀신 | 법가의 제도주의와 묵가의 박애주의 | ||
법가의 이상국가론 | 법가의 제도주의와 묵가의 박애주의 | |||
묵가의 박애주의 | 법가의 제도주의와 묵가의 박애주의 | |||
4. | 예악(禮樂): 사회적 규범과 통합 | 유교사상의 기원 | ||
경학(經學) | 유교사상의 기원 | |||
충서(忠恕) | 유교사상의 기원 | |||
인(仁) | 유교사상의 기원 | |||
태극(太極) | 유교사상의 기원 | |||
5. | 성선설 | 성선설과 트롤리 딜레마 | ||
견우미견양 | 성선설과 트롤리 딜레마 | |||
윤리적 딜레마 | 성선설과 트롤리 딜레마 | |||
이중과정모형과 맹자의 인성론 | 성선설과 트롤리 딜레마 | |||
6. | 심통성정(心統性情) | 유교 인성론의 구조 | ||
사덕(四德) | 유교 인성론의 구조 | |||
사단(四端)과 칠정(七情) | 유교 인성론의 구조 | |||
소당연(所當然)과 소이연(所以然) | 유교 인성론의 구조 | |||
7. | 이(理): 과학과 윤리의 통합 원리 | 유교사상의 이기론적 심화 | ||
이기론(理氣論) | 유교사상의 이기론적 심화 | |||
성(性): 인간의 본성 | 유교사상의 이기론적 심화 | |||
성리학(性理學) | 유교사상의 이기론적 심화 | |||
8. | 주기론(主氣論) | 조선 유교의 두 갈래 | ||
주리론(主理論) | 조선 유교의 두 갈래 | |||
조선을 뒤흔든 예송(禮訟) | 조선 유교의 두 갈래 | |||
9. | 왜 신경윤리학인가 | 퇴계, 율곡 인성론의 신경윤리학적 이해 | ||
퇴계 사단칠정론의 과제 | 퇴계, 율곡 인성론의 신경윤리학적 이해 | |||
율곡 사단칠정론의 과제 | 퇴계, 율곡 인성론의 신경윤리학적 이해 | |||
사단칠정론의 신경윤리학적 재구성 | 퇴계, 율곡 인성론의 신경윤리학적 이해 | |||
10. | 효 개념의 원형 | 유교적 효사상의 비판적 이해 | ||
효 개념의 도덕적 본성화 | 유교적 효사상의 비판적 이해 | |||
효의 정치사회화 | 유교적 효사상의 비판적 이해 | |||
주희의 효 이념 이중 전략 | 유교적 효사상의 비판적 이해 | |||
11. | 격물치지(格物致知) | 양명학의 실천중심주의 | ||
양명의 심즉리(心卽理)와 지행합일(知行合一) | 양명학의 실천중심주의 | |||
양명의 양지(良知) | 양명학의 실천중심주의 | |||
양명의 시비지심 | 양명학의 실천중심주의 | |||
12. | 본연지성(本然之性)과 기질지성(氣質之性) | 성리학 체제의 붕괴 | ||
동도서기(東道西器)와 화혼양재(和魂洋才) | 성리학 체제의 붕괴 | |||
실학 개념의 허구성1-경세치용 | 성리학 체제의 붕괴 | |||
실학개념의 허구성2, 이용후생(利用厚生) | 성리학 체제의 붕괴 | |||
13. | 실학개념의 허구성3, 실사구시(實事求是) | 실학의 비판적 이해 | ||
서학(西學) | 실학의 비판적 이해 | |||
정약용의 성기호설(性嗜好設) | 실학의 비판적 이해 | |||
최한기의 신기(神氣)와 추측(推測) | 실학의 비판적 이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