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1. 강의(1) : Treviño & Nelson (2017) 소개 |
교재 소개
(수업-강의공개 (OCW)-교과목 정보_주차 강의별 설명.hwp 파일 참조) |
 |
|
 |
1. 강의 슬라이드(1): Treviño & Nelson (2017) 소개 |
|
 |
|
 |
1. 강의(2) : 기업윤리 논의의 출발점 (1) |
기업윤리 논의의 출발점 |
 |
|
 |
1. 강의(3) : 기업윤리 논의의 출발점 (2) |
|
 |
|
 |
1. 읽을 거리 : Treviño & Nelson (2017), 27-31 |
|
 |
|
 |
1. 강의 슬라이드(2): 기업윤리 논의의 출발점 |
|
 |
|
 |
2. 읽을 거리(1) : Treviño & Nelson (2017), 129-135 |
도입 사례: 포드 핀토 자동차 화재 |
 |
|
 |
2. 읽을 거리(2) : Treviño & Nelson (2017), 187-194 |
도입 사례에 대한 실제 경영/관리자의 성찰 |
 |
|
 |
2. 읽을 거리(3) : Goodpaster (2005), 56-57 |
‘기업[→사업]윤리’ 개념화 |
 |
|
 |
2. 강의 슬라이드: ‘기업[→사업]윤리’ 개념화 |
|
 |
2. |
 |
2. 강의(1) : '기업윤리' 개념의 구조화 (1) |
|
 |
|
 |
2. 강의(2) : '기업윤리' 개념의 구조화 (2) |
|
 |
|
 |
3. 읽을 거리(1) : Treviño & Nelson (2017), 85-109 |
규범 윤리학/도덕 철학 |
 |
|
 |
3. 강의 슬라이드(1) : Treviño & Nelson (2017), 85-109 |
|
 |
3. |
 |
3. 강의(1) : Treviño & Nelson (2017), 85-109 |
|
 |
|
 |
3. 강의 슬라이드(2) : 규범 윤리학 보충 |
|
 |
|
 |
3. 강의(2) : 규범 윤리학/도덕 철학 (1) |
|
 |
|
 |
3. 강의(3) : 규범 윤리학/도덕 철학 (2) |
|
 |
|
 |
3. 강의(4) : 규범 윤리학/도덕 철학 (3) |
|
 |
|
 |
3. 읽을 거리(2) : 이일학 (2010), 282, 284 |
규범 윤리학/도덕 철학 적용 방법론 |
 |
|
 |
3. 읽을 거리(3) : Nielsen (2005), 449-450 |
|
 |
|
 |
3. 강의 슬라이드(3) : 규범 윤리학/도덕 철학 적용 방법론 |
|
 |
|
 |
3. 강의(5) : 규범 윤리학/도덕 철학 적용 방법론 |
|
 |
|
 |
4. 읽을 거리 : Treviño & Nelson (2017), 147-167 |
도덕 심리학 |
 |
|
 |
4. 강의 슬라이드 : 도덕 심리학 |
|
 |
4. |
 |
4. 강의(1) : 도덕 심리학 (1): 도덕 심리학의 역할 |
|
 |
|
 |
4. 강의(2) : 도덕 심리학 (2): 의사 결정 스타일 |
|
 |
|
 |
4. 강의(3) : 도덕 심리학 (3): 도덕 발달 |
|
 |
|
 |
4. 강의(4) : 도덕 심리학 (4): 통제 위치 |
|
 |
|
 |
4. 강의(5) : 도덕 심리학 (5): 마키아벨리주의 |
|
 |
|
 |
4. 강의(6) : 도덕 심리학 (6): 도덕 이탈 |
|
 |
|
 |
5. 강의 슬라이드(1) : 기업윤리에 대한 이 수업의 접근방식 |
기업윤리에 대한 이 수업의 접근방식 |
 |
5. |
 |
5. 강의(1) : 기업윤리에 대한 이 수업의 접근방식 |
|
 |
|
 |
5. 읽을 거리(1) : Treviño & Nelson (2017), 603-606 |
기업윤리 이슈 확인 접근법 |
 |
|
 |
5. 읽을 거리(2) : Freeman (2005), 496 |
|
 |
|
 |
5. 강의 슬라이드(2) : 기업윤리 이슈 확인 접근법 |
|
 |
|
 |
5. 강의(2) : 기업윤리 이슈 확인 접근법 |
|
 |
|
 |
5. 읽을 거리(3) : Treviño & Nelson (2017), 606-607 |
마케팅 윤리 |
 |
|
 |
5. 읽을 거리(4) : Murphy (2005), 330-332 |
|
 |
|
 |
5. 강의 슬라이드(3) : 마케팅 윤리 |
|
 |
|
 |
5. 강의(3) : 마케팅 윤리 |
|
 |
|
 |
6. 읽을 거리(1) : Treviño & Nelson (2017), 637 |
인적 자원 관리 윤리 |
 |
|
 |
6. 읽을 거리(2) : Davidson (2005), 231-235 |
|
 |
|
 |
6. 강의 슬라이드(1) : 인적 자원 관리 윤리 |
|
 |
6. |
 |
6. 강의(1) : 인적 자원 관리 윤리 |
|
 |
|
 |
6. 읽을 거리(3) : Treviño & Nelson (2017), 658 |
재무·회계 관리 윤리 |
 |
|
 |
6. 읽을 거리(4) : Boatright (2005), 196-197 |
|
 |
|
 |
6. 읽을 거리(5) : Treviño & Nelson (2017), 227-131 |
|
 |
|
 |
6. 읽을 거리(6) : Davis (2005), 99-100 |
|
 |
|
 |
6. 강의 슬라이드(2) : 재무·회계 관리 윤리 |
|
 |
|
 |
6. 강의(2) : 재무·회계 관리 윤리 |
|
 |
|
 |
7. 읽을 거리(1) : Treviño & Nelson (2017), 677-678 |
국제 사업/기업 윤리 |
 |
|
 |
7. 읽을 거리(2) : Donaldson (2005), 254-257 |
|
 |
|
 |
7. 강의 슬라이드(1) : 국제 사업/기업 윤리 |
|
 |
7. |
 |
7. 강의(1) : 국제 사업/기업 윤리 |
|
 |
|
 |
7. 읽을 거리(3) : Treviño & Nelson (2017), 658-663 |
환경 윤리 |
 |
|
 |
7. 읽을 거리(4) : Westra (2005), 175-177 |
|
 |
|
 |
7. 강의 슬라이드(2) : 환경 윤리 |
|
 |
|
 |
7. 강의(2) : 환경 윤리 |
|
 |
8. |
 |
8. 강의(1) : 도입부 요약 |
수업 전반부 요약 |
 |
|
 |
8. 강의(2) : 기업윤리 개요 요약 (1) |
|
 |
|
 |
8. 강의(3) : 기업윤리 개요 요약 (2) |
|
 |
|
 |
8. 강의(4) : 기업윤리 개요 요약 (3) |
|
 |
|
 |
8. 강의(5) : 기업윤리 개요 요약 (4) |
|
 |
|
 |
8. 강의(6) : 기업윤리 개요 요약 (5) |
|
 |
|
 |
8. 강의(7) : 기업윤리 이슈 요약 (1) |
|
 |
|
 |
8. 강의(8) : 기업윤리 이슈 요약 (2) |
|
 |
|
 |
8. 강의(9) : 기업윤리 이슈 요약 (3) |
|
 |
|
 |
9. 읽을 거리(1) : Mathews (2005), 116-118 |
‘기업[→사업]윤리’ 관련 현상 |
 |
|
 |
9. 읽을 거리(2) : Bennett & Robinson (2000), 349-350 |
|
 |
|
 |
9. 읽을 거리(3) : Coffey (2005), 151-152 |
|
 |
|
 |
9. 읽을 거리(4) : Carroll (1997), 593-595 |
|
 |
|
 |
9. 읽을 거리(5) : Waddock (2005), 112-116 |
|
 |
|
 |
9. 강의 슬라이드(1) : 기업윤리 관련 현상 |
|
 |
9. |
 |
9. 강의(1) : 기업윤리 관련 현상 |
|
 |
|
 |
9. 읽을 거리(6) : Treviño & Nelson (2017), 568-576 |
(기업) 지속가능성 |
 |
|
 |
9. 읽을 거리(7) : 이재혁 (2020), 30-31 |
|
 |
|
 |
9. 읽을 거리(8): Dyllick & Hockerts (2002), 131-132 |
|
 |
|
 |
9. 강의 슬라이드(2) : (기업) 지속가능성 |
|
 |
|
 |
9. 강의(2) : (기업) 지속가능성 |
|
 |
|
 |
10. 읽을 거리(1) : Wood (2005), 127-129 |
기업 사회 성과 |
 |
|
 |
10. 읽을 거리(2) : 이재혁 (2020), 31-35 |
|
 |
|
 |
10. 강의 슬라이드(1) : 기업 사회 성과 |
|
 |
10. |
 |
10. 강의(1) : 기업 사회 성과 |
|
 |
|
 |
10. 읽을 거리(3) : Treviño & Nelson (2017), 171-175 |
위험/위기 관리 |
 |
|
 |
10. 강의 슬라이드(2) : 위험/위기 관리 |
|
 |
|
 |
10. 강의(2) : 위험/위기 관리 (1) |
|
 |
|
 |
10. 강의(3) : 위험/위기 관리 (2) |
|
 |
|
 |
10. 강의(4) : 위험/위기 관리 (3) |
|
 |
|
 |
10. 강의(5) : 위험/위기 관리 (4) |
|
 |
|
 |
11. 읽을 거리(1) : Wilcox & Cameron (2012), 7-8 |
공공/공중 관계 |
 |
|
 |
11. 읽을 거리(2) : Wilcox & Cameron (2012), 443-446 |
|
 |
|
 |
11. 읽을 거리(3) : Wilcox & Cameron (2012), 192-193 |
|
 |
11. |
 |
11. 강의(1) : 공공/공중 관계 (1) |
|
 |
|
 |
11. 강의(2) : 공공/공중 관계 (2) |
|
 |
|
 |
11. 읽을 거리(4) : Wilcox & Cameron (2012), 243-245 |
갈등 관리 |
 |
|
 |
11. 읽을 거리(5) : Wilcox & Cameron (2012), 252-254 |
|
 |
|
 |
11. 강의 슬라이드 : 갈등 관리 |
|
 |
|
 |
11. 강의(3) : 갈등 관리 |
|
 |
|
 |
12. 읽을 거리(1) : Treviño & Nelson (2017), 367-368 |
기업윤리 (대응) 체계의 요건 |
 |
|
 |
12. 읽을 거리(2) : Treviño & Nelson (2017), 434-436 |
|
 |
|
 |
12. 읽을 거리(3) : Treviño & Nelson (2017), 425-427 |
|
 |
|
 |
12. 강의 슬라이드(1) : 기업윤리 (대응) 체계의 요건 |
|
 |
12. |
 |
12. 강의(1) : 기업윤리 (대응) 체계의 요건 (1) |
|
 |
|
 |
12. 강의(2) : 기업윤리 (대응) 체계의 요건 (2) |
|
 |
|
 |
12. 강의(3) : 기업윤리 (대응) 체계의 요건 (3) |
|
 |
|
 |
12. 읽을 거리(4) : Treviño & Nelson (2017), 726-733 |
기업윤리 체계 관련 국제 요구 |
 |
|
 |
12. 강의 슬라이드(2) : 기업윤리 체계 관련 국제 요구 |
|
 |
|
 |
12. 강의(4) : 기업윤리 체계 관련 국제 요구 |
|
 |
|
 |
13. 읽을 거리(1) : Cummings & Worley (2016), 1-2 |
조직 개발 |
 |
|
 |
13. 읽을 거리(2) : Cummings & Worley (2016), 30-31 |
|
 |
|
 |
13. 읽을 거리(3) : Cummings & Worley (2016), 157-163 |
|
 |
|
 |
13. 읽을 거리(4) : Cummings & Worley (2016), 179-181 |
|
 |
|
 |
13. 강의 슬라이드(1) : 조직 개발 |
|
 |
13. |
 |
13. 강의(1) : 조직 개발 (1) |
|
 |
|
 |
13. 강의(2) : 조직 개발 (2) |
|
 |
|
 |
13. 읽을 거리(5) : Treviño & Nelson (2017), 382-386 |
기업윤리 체계: 조직 구성원 소통 |
 |
|
 |
13. 읽을 거리(6) : Treviño & Nelson (2017), 279-281 |
|
 |
|
 |
13. 읽을 거리(7) : Treviño & Nelson (2017), 348-351 |
|
 |
|
 |
13. 읽을 거리(8) : Treviño & Nelson (2017), 351-353 |
|
 |
|
 |
13. 읽을 거리(9) : Treviño & Nelson (2017), 394-397 |
|
 |
|
 |
13. 강의 슬라이드(2) : 조직 구성원 소통 |
|
 |
|
 |
13. 강의(3) : 조직 구성원 소통 |
|
 |
|
 |
14. 읽을 거리(1) : Wilcox & Cameron (2012), 167-168 |
의사 소통 |
 |
|
 |
14. 강의 슬라이드(1) : 의사 소통 |
|
 |
14. |
 |
14. 강의(1) : 의사 소통 |
|
 |
|
 |
14. 강의 슬라이드(2) : 이해관계자 소통 주요 기준 |
기업윤리 체계: 이해관계자 소통 |
 |
|
 |
14. 강의 슬라이드(3) : GRI 표준 활용 보고 절차 |
|
 |
|
 |
14. 강의(2) : 이해관계자 소통 (1) |
|
 |
|
 |
14. 강의(3) : 이해관계자 소통 (2) |
|
 |
|
 |
14. 강의(4) : 이해관계자 소통 (3) |
|
 |
15. |
 |
15. 강의(1) : 기업윤리 대응 이론 요약 (1) |
|
 |
|
 |
15. 강의(2) : 기업윤리 대응 이론 요약 (2) |
|
 |
|
 |
15. 강의(3) : 기업윤리 대응 이론 요약 (3) |
|
 |
|
 |
15. 강의(4) : 기업윤리 대응 이론 요약 (4) |
|
 |
|
 |
15. 강의(5) : 기업윤리 대응 체계 요약 (1) |
|
 |
|
 |
15. 강의(6) : 기업윤리 대응 체계 요약 (2) |
|
 |
|
 |
15. 강의(7) : 기업윤리 대응 체계 요약 (3)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