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교과목 소개
|
과목 소개, 학습 목적, 과목진행 등 |
|
|
|
한반도 주변 4강과 우리의 안보
|
The Four Powers and Our Security Around the Korean Peninsula |
|
|
|
국가란 무엇인가?
|
국가의 정의, 국가의 발생이론, 국가의 권리 |
|
2. |
|
국가안보의 성격
|
국가의 현대적 의미, 국가의 성격 |
|
|
|
국력의 개념
|
국력의 요소 |
|
|
|
국가이익의 유형
|
국가이익의 유형, 국가안보정책의 정의와 개념 |
|
3. |
|
국가의 목적과 정책의 개념
|
국가목적과 정책과의 관계, 국가 정책, 전략관계 |
|
|
|
영토의 개념
|
영토의 개념 설명 |
|
|
|
영토 분쟁
|
영토 분쟁의 원인과 배경 |
|
4. |
|
영토 분쟁 사례 1
|
이어도, 녹둔도, 독도 |
|
|
|
영토 분쟁 사례 2
|
방공식별구역 침범사례, 보편적 인식 |
|
|
|
위협의 개념
|
위협 등 유사용어 개념 |
|
5. |
|
국가의 위협
|
국가의 위협이란?, 위협의 영역과 범위 |
|
|
|
국가위협과 취약성 1
|
내부 및 외부 위협의 취약성 |
|
|
|
국가위협과 취약성 2
|
국내 및 국제정치 수준과 국가안보의 상관성 |
|
6. |
|
세계화의 개념
|
세계화와 국제화의 개념 차이, 세계화의 특성 |
|
|
|
세계화와 국제관계 변화
|
세계화와 지역주의, 낙관론, 비관론 |
|
|
|
세계화와 안보와의 관계
|
세계화의 안보적 함의 |
|
7. |
|
국가안보의 영역 변화
|
국가안보의 영역 확대, 주변 강대국들의 전략 |
|
|
|
주변국가의 군사력
|
주변국가의 군사력, 북한의 핵 위협 |
|
|
|
주변국가의 군비증강 실태
|
군비증강과 군비통제, 한반도 주변국가 증강실태 |
|
8. |
|
국가안보달성 방법 1
|
동맹의 정의, 군사동맹의 종류 |
|
|
|
국가안보달성 방법 2
|
동맹의 지속 평가 |
|
|
|
국가안보달성 방법 3
|
월트의 동맹이론 |
|
9. |
|
국가안보달성 방법 4
|
안보 딜레마, 세력균형 |
|
|
|
국가안보달성 방법 5
|
자주국방, 억제전략 |
|
|
|
국가안보달성 방법 6
|
한미동맹의 형성과 평가 |
|
10. |
|
한미 SOFA 1
|
한미상호방위조약과 SOFA 비교, SOFA 추진과정 |
|
|
|
한미 SOFA 2
|
방위분담금, 주한미군 주둔비용, 작전통제권 전환 |
|
|
|
미사일 방어체계
|
MD, KAMD, Kill Chain, THAAD |
|
11. |
|
통일의 개념
|
통일 개념, 유사용어 설명(통합, 연합, 연방 등) |
|
|
|
국가의 통일 유형
|
무력적 강제 통일, 대등적 합병 통일, 일방적 흡수통일 |
|
|
|
타 국가 통일사례 1: 베트남
|
통일과정, 통일 후 군사통합 |
|
12. |
|
타 국가 통일사례 2: 예멘
|
통일과정, 통일 후 군사통합 |
|
|
|
타 국가 통일사례 3: 독일
|
통일과정, 통일 후 군사통합 |
|
|
|
분단국가의 통일교훈
|
분단국가 통일 및 군사통합 교훈, 남북한의 통일노력 |
|
13. |
|
북한의 급변사태와 한국의 통일정책
|
북한의 급변사태, 통일정책과 국가안보 |
|
|
|
G2 중국을 이해하기
|
중국의 군사현대화 추진 실태 |
|
|
|
현안 이슈들
|
북한에 대한 군사옵션, 에너지 안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