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모두를 위한 열린 강좌 KOCW

주메뉴

동아시아 인문산책

  • 성균관대학교
  • 미야지마 히로시, 손병규, 다니엘 종스켄디크, 왈라번, 이영호, 하영휘, 임태승, 마리성학 김,백우열, 김경호, 윤재석, 임중혁
  • 공유하기
  • 강의담기
  • 오류접수
  • 이용안내
강의사진
  • 주제분류
    인문과학 >인문과학기타 >사학
  • 강의학기
    2019년 1학기
  • 조회수
    2,442
  •  
강의계획서
강의계획서
동아시아인문산책

차시별 강의

PDF VIDEO SWF AUDIO DOC AX
1. 비디오 한국족보의 역사(미야지마 히로시) 1 한국사와 족보의 역사 - 한국에서 왜 지금도 활발하게 족보가 만들어지고 있는지, 한국의 역사와 문화의 특징을 생각하는 실말이 될 수 있다. 족보이라는 자료에 대해 세계 각 지역에서 만들어진 계보기록 중에서 족보이라는 자료의 특색에 대해 설명하고, 중국 송나라시대에 만들어지기 시작한 이유를 밝힌다. URL
비디오 한국족보의 역사(미야지마 히로시) 2 한국의 족보에 대해 한국 족보의 편찬 주체로서 동본동성(同本同姓) 집단에 대해 설명한 다음, 사례로서 안동 권씨의 역대 족보를 대상으로 한 이유를 설명한다. URL
비디오 한국족보의 역사(미야지마 히로시) 3 초기 족보의 시대(15,16세기) : 1476년에 만들어진 안동 권씨 성화보를 소개하면서 그 특징을 밝힌다. URL
비디오 한국족보의 역사(미야지마 히로시) 4 조선 후기의 족보 : 1701년, 1734년, 1794년에 편찬된 안동 권씨 족보를 소개하면서 시대에 따라 족보의 내용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밝힌다. 근대 이후의 족보 : 20세기에도 족보가 계속 편찬된 사정을 소개하면서 왜 이러한 현상이 생겼는지,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검토해서 한국 역사의 특징적인 면을 밝힌다. URL
2. 비디오 한국의 호적과 족보(손병규) 1 한국 고중세사회의 호적과 민간족보의 출현 고대사회에서 조선왕조 초기에 이르는 호적의 역사와 15세기 민간족보의 출현을 살펴본다. 중국의 호적 및 족보와 달리 한국 호적에는 신분 관련 기록이 기재되며, 족보에는 아들만이 아니라 딸로 이어지는 계보가 작성된다. 이것은 중국의 호적 및 족보와 다른 특징이며, 한국사회의 특성을 나타낸다. URL
비디오 한국의 호적과 족보(손병규) 2 조선후기의 호적 조선후기에 군현 단위로 3년마다 한 번씩 작성된 호적장부가 현존한다. 호적은 징병, 호역의 부과와 치안 유지를 위한 기본대장이다. 또한 당시의 호구정책에 따라 작성됨으로써 집권적인 통치이념의 방향성을 볼 수 있다. 한편 호적의 직역기재 경향으로부터 ‘양반지향적’ 성향과 신분의 유동성을 확인할 수 있다. URL
비디오 한국의 호적과 족보(손병규) 3 한국 족보의 특성 유교문화를 공유하는 동아시아 사회에서도 한국 족보는 독특한 성격을 나타낸다. 한국 족보는 중앙집권적 통치시스템의 추진에 대응하는 형태로 발생하여 계층적 결합을 위해 편찬되었다. 직계 및 방계의 정통성을 갖는 부계 친족들 사이의 질서와 함께 신분내 혼인네트워크의 유대관계를 강화하는 한편, 신분적 차별을 분명히 하려는 의도를 보인다. URL
비디오 한국의 호적과 족보(손병규) 4 한말 일제하의 호적과 족보편찬 붐 대한제국기에도 누락 없는 호구파악을 목적으로 호적이 작성되었으나 성공적이지는 않았다. 1909년부터 ‘민적’이 작성되었는데, 연장자 남성을 호주로 하는 본적지주의 호적으로 발전했다. 이러한 호적의 변화와 병행하여 족보 편찬붐이 일어났다. 사회변동에 대응하여 동족적 결합의 의도가 강해졌다. URL
3. 비디오 Korean Population History(다니엘종 스켄디크) 1 This class provides an overview of Korean population history by employing demographic and anthropometric evidence along with underlying socioeconomic theory such as the concepts of the demographic transition, the nutrition transition, and a framework for biological standard of living. The course introduces students to terminology commonly applied in population history and discusses a large array of biosocial indicators such as fertility, mortality, life expectancy, sex ratios at birth, stature, overweight, underweight, and mid-upper arm circumference, among others. While the focus of this class is on the population history of modern Korea, including bo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occasional comparisons to colonial Korea and pre-modern Joseon Dynasty are made. URL
비디오 Korean Population History(다니엘종 스켄디크) 2 This class provides an overview of Korean population history by employing demographic and anthropometric evidence along with underlying socioeconomic theory such as the concepts of the demographic transition, the nutrition transition, and a framework for biological standard of living. The course introduces students to terminology commonly applied in population history and discusses a large array of biosocial indicators such as fertility, mortality, life expectancy, sex ratios at birth, stature, overweight, underweight, and mid-upper arm circumference, among others. While the focus of this class is on the population history of modern Korea, including bo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occasional comparisons to colonial Korea and pre-modern Joseon Dynasty are made. URL
비디오 Korean Population History(다니엘종 스켄디크) 3 This class provides an overview of Korean population history by employing demographic and anthropometric evidence along with underlying socioeconomic theory such as the concepts of the demographic transition, the nutrition transition, and a framework for biological standard of living. The course introduces students to terminology commonly applied in population history and discusses a large array of biosocial indicators such as fertility, mortality, life expectancy, sex ratios at birth, stature, overweight, underweight, and mid-upper arm circumference, among others. While the focus of this class is on the population history of modern Korea, including bo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occasional comparisons to colonial Korea and pre-modern Joseon Dynasty are made. URL
비디오 Korean Population History(다니엘종 스켄디크) 4 This class provides an overview of Korean population history by employing demographic and anthropometric evidence along with underlying socioeconomic theory such as the concepts of the demographic transition, the nutrition transition, and a framework for biological standard of living. The course introduces students to terminology commonly applied in population history and discusses a large array of biosocial indicators such as fertility, mortality, life expectancy, sex ratios at birth, stature, overweight, underweight, and mid-upper arm circumference, among others. While the focus of this class is on the population history of modern Korea, including bo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occasional comparisons to colonial Korea and pre-modern Joseon Dynasty are made. URL
4. 비디오 The Anthropology of History(왈라번) 1 This introductory class makes a distinction between the past as a chaotic mass of events and history as a meaningful narrative about events in the past, a view of history that was formulated by Benedetto Croce and Johan Huizinga. Every society produces such narratives, which makes their production an object of study for the anthropologist, who will study the production of history in this sense as a social process. This approach is not just of interest to the anthropologist, but may also help the historian to situate his own work, while it may also contribute to educate average citizens to understand the uses (and abuses) of history in political and social debates. URL
비디오 The Anthropology of History(왈라번) 2 This introductory class makes a distinction between the past as a chaotic mass of events and history as a meaningful narrative about events in the past, a view of history that was formulated by Benedetto Croce and Johan Huizinga. Every society produces such narratives, which makes their production an object of study for the anthropologist, who will study the production of history in this sense as a social process. This approach is not just of interest to the anthropologist, but may also help the historian to situate his own work, while it may also contribute to educate average citizens to understand the uses (and abuses) of history in political and social debates. URL
5. 비디오 Different groups, different identities (왈라번) 1 In this lecture several examples are given of social groups in Korea who have produced their own histories. Among these social groups there are lineages, regional associations, religious groups, and shamans. Producing their own history in Korea is often a way to integrate their history in the history of the nation. It may therefore be called “bifocal”: on the one hand it focuses on the own group nearby, on the other hand it focuses on the wider perspective of national history. URL
비디오 Different groups, different identities (왈라번) 2 In this lecture several examples are given of social groups in Korea who have produced their own histories. Among these social groups there are lineages, regional associations, religious groups, and shamans. Producing their own history in Korea is often a way to integrate their history in the history of the nation. It may therefore be called “bifocal”: on the one hand it focuses on the own group nearby, on the other hand it focuses on the wider perspective of national history. URL
6. 비디오 세 가지 주제로 읽는 논어(이영호) 1 1. 공자의 생애에 관하여 간략하게 소개함. - 공자가 인류문명사에서 지니는 위상에 대하여 설명함. - 예의 실천자, 위대한 교사로서의 공자에 대하여 설명함. - 논어의 저자, 논어라는 책명의 의미 등에 대하여 알아봄. - 논어의 여러 판본에 대하여 알아봄. - 논어의 독법과 그 의미에 대하여 숙고함. URL
비디오 세 가지 주제로 읽는 논어(이영호) 2 2. 공자와 학(學) 공자가 말하는 학문의 특징을, 인생의 목적으로서의 학, 기쁨으로서의 학, 삶으로서의 학으로 나누어 설명함. - 학문의 목적을 대학에 나오는 삼강령, 팔조목을 위주로 설명함. - 특히 팔조목의 성의와 정심을 중심으로 학문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봄. URL
비디오 세 가지 주제로 읽는 논어(이영호) 3 3. 공자와 인(仁) 공자가 말하는 인의 의미에 대하여 설명함. - 인의 다양한 정의 가운데, ‘사랑’으로 인을 규정한 것의 의미에 대하여 살펴봄. - 인을 성취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논어에 나오는 다양한 용례를 중심으로 알아봄. URL
비디오 세 가지 주제로 읽는 논어(이영호) 4 4. 공자와 인(仁) 공자가 말하는 인의 의미에 대하여 설명함. - 인의 다양한 정의 가운데, ‘사랑’으로 인을 규정한 것의 의미에 대하여 살펴봄. - 인을 성취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논어에 나오는 다양한 용례를 중심으로 알아봄. URL
7. 비디오 정몽주, 훌쩍 떠나고 싶은 마음(하영휘) 1 1. 정몽주가 이집에게 보낸 편지 두 통이다. 이집은 이때 은퇴하여 여주에 살았는데, 정몽주도 훌쩍 떠나고 싶다고 말하며 먼저 떠난 이집을 부러워하고 있다. 고려 말 복잡한 정치적 상황에서 그것을 지탱하고 있던 정몽주의 심경을 읽을 수 있다. 고려시대의 편지가 거의 남아 있지 않은데, 고려시대에도 조선시대와 마찬가지로 편지를 많이 주고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URL
비디오 곽주, 꼼꼼하고 가정적인 경상도 양반(하영휘) 2 2. 곽주가 아내 하씨에게 보낸 편지 두 통이다. 곽주는 당시 산에서 요양 중인 아버지를 간호하느라 아내와 떨어져 있었다. 이 편지를 보면 조선시대 양반을 생활상을 잘 알 수 있다. 가정생활의 모든 부분에 관하여 지나치리만큼 꼼꼼한 모습을 곽주는 보여주고 있다. URL
비디오 김흥경, 아버지가 보낸 편지(하영휘) 3 3. 김흥경이 아들 김한좌에게 보낸 편지 세 통이다. 1725년 동지정사가 되어 출발하는 아버지를 배웅하기 위하여 예산에서 서울로 올라가는 아들에게 아버지가 보낸 편지 한 통, 그리고 이듬해 사행에서 돌아오는 아버지를 마중하기 위하여 평양으로 가는 아들에게 보낸 편지 두 통이다. 아버지의 사행을 아들이 배웅하고 마중했다는 것을 이 편지를 통하여 알 수 있고, 먼 길을 오는 아들을 배려하는 자상한 아버지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URL
비디오 정약전, 유배지의 형과 아우(하영휘) 4 4. 신유박해 때 아우 정약용은 강진에 형 정약전은 흑산도에 유배되었다. 이 편지는 1806년 형이 아우에게 보낸 것이다. 아우의 제자 황상이 쓴 시를 보고 형은 칭찬을 아끼지 않으며, 자기가 보낸 사람도 무시해서는 안 된다고 말하고 있다. 정약용이 훈장이었다면, 정약전은 흑산도의 두령이었다는 것을 이 편지를 통하여 알 수 있다. 이 형제는 서로 그렇게 그리워했으면서도 유배 이후 한 번도 만나지 못하고 종종 편지로 그림움을 달랬다. URL
8. 비디오 동양에서 아름다움이란 것(임태승) 1 유가는 예술을 위한 예술이 아니라 인간과 역사와 사회를 위한 예술을 주장한다. 예술은 모름지기 가치를 나타내야 함을 강조하는 것이다. 도덕이나 이데올로기를, 예술이라고 하는 표상체계를 통해서 표현하는 것이 유가에서 말하는 예술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로 하여금 아름다움이라는 것에조차 인식의 틀을 갖도록 유도한다. 예컨대, 모란꽃은 부귀영화를 상징하기 때문에 선비나 문인은 그 꽃을 좋아하면 안 되는 것이다. 반면, 대나무는 군자를 상징하기에 아름다운 것이 된다. 일개 식물로서의 심미대상에 가치가 내재된 것이다. 그런데 도가는 이러한 미적 인식을 깨고자 한다. 사람들이 윤리적, 도덕적, 형이상학적인 내용과 가치를 미학적이고 예술적인 인식에 덧씌운 그와 같은 심미적 고정관념 때문에 사회가 경직된다고 보는 것이다. 도가는 개인성이라는 것은 없고 획일성과 전체화가 사회의 상식으로 굳어지는 현상 내지 현실을 비판한다. 그래서 유가적 심미인식을 전도하려는 것이 도가미학의 모토이다. URL
비디오 동양에서 아름다움이란 것(임태승) 2 유가는 예술을 위한 예술이 아니라 인간과 역사와 사회를 위한 예술을 주장한다. 예술은 모름지기 가치를 나타내야 함을 강조하는 것이다. 도덕이나 이데올로기를, 예술이라고 하는 표상체계를 통해서 표현하는 것이 유가에서 말하는 예술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로 하여금 아름다움이라는 것에조차 인식의 틀을 갖도록 유도한다. 예컨대, 모란꽃은 부귀영화를 상징하기 때문에 선비나 문인은 그 꽃을 좋아하면 안 되는 것이다. 반면, 대나무는 군자를 상징하기에 아름다운 것이 된다. 일개 식물로서의 심미대상에 가치가 내재된 것이다. 그런데 도가는 이러한 미적 인식을 깨고자 한다. 사람들이 윤리적, 도덕적, 형이상학적인 내용과 가치를 미학적이고 예술적인 인식에 덧씌운 그와 같은 심미적 고정관념 때문에 사회가 경직된다고 보는 것이다. 도가는 개인성이라는 것은 없고 획일성과 전체화가 사회의 상식으로 굳어지는 현상 내지 현실을 비판한다. 그래서 유가적 심미인식을 전도하려는 것이 도가미학의 모토이다. URL
비디오 동양에서 아름다움이란 것(임태승) 3 교육과 질서와 도덕이 예술에 내재된 것을, 혹은 예술을 통해 그것들을 발현하는 것을 유가에서는 아름다움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도가는 그러한 아름다움 때문에 사람들이 수동적으로 이끌려 다니면서 편견과 독단에 빠지게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도가는 이 고정관념을 타파하기 위해 역설적으로 추악함을 찬양한다. 추악함을 찬미함으로써 상식적인 심미안과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고정관념을 교정하여 바꾸어주려는 것이다. 도가의 심미관이 바라는 목표는 사회성에 속박된 개체성의 해방이다. 도가가 지향하는 예술적 효과는 바로 사회라는 제도와 질서에 갇혀 있는 개인의 주체성을 회복시키기 위한 미학적 방법인 것이다. 한편 선불교 역시 인식할 수 있는 욕망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심미방법을 활용했다는 점에서, 도가와 유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도가나 선불교의 미학 인식은 공히 탈유가(Post-Confucianism)적 심미관이라 할 수 있다. URL
비디오 동양에서 아름다움이란 것(임태승) 4 교육과 질서와 도덕이 예술에 내재된 것을, 혹은 예술을 통해 그것들을 발현하는 것을 유가에서는 아름다움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도가는 그러한 아름다움 때문에 사람들이 수동적으로 이끌려 다니면서 편견과 독단에 빠지게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도가는 이 고정관념을 타파하기 위해 역설적으로 추악함을 찬양한다. 추악함을 찬미함으로써 상식적인 심미안과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고정관념을 교정하여 바꾸어주려는 것이다. 도가의 심미관이 바라는 목표는 사회성에 속박된 개체성의 해방이다. 도가가 지향하는 예술적 효과는 바로 사회라는 제도와 질서에 갇혀 있는 개인의 주체성을 회복시키기 위한 미학적 방법인 것이다. 한편 선불교 역시 인식할 수 있는 욕망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심미방법을 활용했다는 점에서, 도가와 유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도가나 선불교의 미학 인식은 공히 탈유가(Post-Confucianism)적 심미관이라 할 수 있다. URL
9. 비디오 Rites and Rights, Reverence and Recourse: Revisiting Confucian Legacy in Modern Korean Law(마리성학 김) 1 현대 한국 민법과 형법에 남아있는 유교 전통에 근거한 법 조항을 검토하고 그 사법적 해석 경향을 고찰 URL
비디오 Rites and Rights, Reverence and Recourse: Revisiting Confucian Legacy in Modern Korean Law(마리성학 김) 2 현대 한국 민법과 형법에 남아있는 유교 전통에 근거한 법 조항을 검토하고 그 사법적 해석 경향을 고찰 URL
10. 비디오 Travails of Judges: Constitutional Authoritarianism and Courts in Korea(마리성학 김) 1 비교 헌법주의의 측면에서 유신헌법 하에서의 법관의 역할을 고찰 URL
비디오 Travails of Judges: Constitutional Authoritarianism and Courts in Korea(마리성학 김) 2 비교 헌법주의의 측면에서 유신헌법 하에서의 법관의 역할을 고찰 URL
11. 비디오 흔들리는 동아시아의 정치경제 2015,나는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백우열) 1 왜 우리는 동아시아의, 세계의 정치경제적 변동을 알아야 하는가? 왜냐하면 세계의 모든 변화가 나에게, 조직에게 실시간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 즉 모든 변수들을 통제하기는 어렵지만 큰 구조적 흐름을 인지하는 것이 좋다. 이 강의는 동아시아의, 세계의 정치경제적 변동이 나에게, 기업에게, 한국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와 모든 경제-기업은 국제정치경제적 변화에 절대적 영향을 어떻게 인지하는가에 대해 알아본다. 구체적으로 현재 동아시아 정치경제를 움직이는 핵심적인 구조들을 간단히 검토하고 글로벌 제국인 중국과 미국(일본)의 대결과 이에 대한 중견국(middle power)인 한국, 미얀마,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파나마, 캐나다, 프랑스, 독일 등이 이에 어떻게 대처하는지 기초적으로 분석해본다.… URL
비디오 흔들리는 동아시아의 정치경제 2015,나는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백우열) 2 왜 우리는 동아시아의, 세계의 정치경제적 변동을 알아야 하는가? 왜냐하면 세계의 모든 변화가 나에게, 조직에게 실시간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 즉 모든 변수들을 통제하기는 어렵지만 큰 구조적 흐름을 인지하는 것이 좋다. 이 강의는 동아시아의, 세계의 정치경제적 변동이 나에게, 기업에게, 한국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와 모든 경제-기업은 국제정치경제적 변화에 절대적 영향을 어떻게 인지하는가에 대해 알아본다. 구체적으로 현재 동아시아 정치경제를 움직이는 핵심적인 구조들을 간단히 검토하고 글로벌 제국인 중국과 미국(일본)의 대결과 이에 대한 중견국(middle power)인 한국, 미얀마,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파나마, 캐나다, 프랑스, 독일 등이 이에 어떻게 대처하는지 기초적으로 분석해본다.… URL
12. 비디오 2015년을 살아가는 중국과 한국, 사회 분열, 불안, 불만의 정치사회(백우열) 1 급속도의 고도경제성장으로 엄청난 삶의 질 향상을 누리고 있는 중국의 사회는 또한 국가가 이끌어가는 자본주의시장경제의 빈부격차로 인해 사회 전체, 작은 공동체, 가족, 개인의 분열, 불안, 불만이 급증하고 있다. 더 나은 삶을 위해 선진국의 대열에 합류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 한국의 사회는 정체된 경제와 빈부양극화의 가속화로 인해 그리고 북한이라는 존재로 인하여 사회 전체, 작은 공동체, 가족, 개인의 분열, 불안, 불만이 점증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이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지를 정치학적으로 가볍게 풀어내어 한국과 중국의 현대 미술을 이해하는 한 단초가 되기를 기대하며 중국의 정치사회의 현실을 위주로 살펴본다. URL
비디오 2015년을 살아가는 중국과 한국, 사회 분열, 불안, 불만의 정치사회(백우열) 2 급속도의 고도경제성장으로 엄청난 삶의 질 향상을 누리고 있는 중국의 사회는 또한 국가가 이끌어가는 자본주의시장경제의 빈부격차로 인해 사회 전체, 작은 공동체, 가족, 개인의 분열, 불안, 불만이 급증하고 있다. 더 나은 삶을 위해 선진국의 대열에 합류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 한국의 사회는 정체된 경제와 빈부양극화의 가속화로 인해 그리고 북한이라는 존재로 인하여 사회 전체, 작은 공동체, 가족, 개인의 분열, 불안, 불만이 점증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이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지를 정치학적으로 가볍게 풀어내어 한국과 중국의 현대 미술을 이해하는 한 단초가 되기를 기대하며 중국의 정치사회의 현실을 위주로 살펴본다. URL
13. 비디오 사마천과 사기(김경호) 1 사마천의 생애와 젊은 시절의 여행과 견문을 통해 습득한 지식이 사기의 저술 동기와의 관련성 및 부친의 유언과 관련한 서술 목적, 그리고 사기의 구체적인 구성과 서술의 특색과 역사관을 중심으로 강의한다. URL
비디오 사마천과 사기(김경호) 2 사마천의 생애와 젊은 시절의 여행과 견문을 통해 습득한 지식이 사기의 저술 동기와의 관련성 및 부친의 유언과 관련한 서술 목적, 그리고 사기의 구체적인 구성과 서술의 특색과 역사관을 중심으로 강의한다. URL
14. 비디오 출토문자 자료로 이해하는 곧 중국(김경호) 1 문자의 탄생과 문화의 형성 과정을 설명한다. 갑골문과 금문의 세계, 그리고 간백과 종이가 주요 서사재료로 사용된 시대상을 문자와 서사재료를 통해 설명한다. 특히 문서행정과 사상의 발달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URL
비디오 출토문자 자료로 이해하는 곧 중국(김경호) 2 문자의 탄생과 문화의 형성 과정을 설명한다. 갑골문과 금문의 세계, 그리고 간백과 종이가 주요 서사재료로 사용된 시대상을 문자와 서사재료를 통해 설명한다. 특히 문서행정과 사상의 발달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URL
15. 비디오 진시황제와 그의 시대(윤재석) 1 ‣현대 중국의 원형으로서 진제국의 위상에 대한 이해 ‣정치`경제`사회적 측면에서 진제국의 내부 구조 이해 ‣진제국의 유지 원리를 ‘도광양회’ ‘정보의 장악’ ‘인사정책’의 측면에서 이해 ‣진시황제의 개인사가 진제국의 수립과 전개에 미친 영향에 대한 이해 ‣최근 간독자료에 나타난 진시황제의 죽음과 관련된 새로운 사실에 대한 이해 URL
비디오 진시황제와 그의 시대(윤재석) 2 ‣현대 중국의 원형으로서 진제국의 위상에 대한 이해 ‣정치`경제`사회적 측면에서 진제국의 내부 구조 이해 ‣진제국의 유지 원리를 ‘도광양회’ ‘정보의 장악’ ‘인사정책’의 측면에서 이해 ‣진시황제의 개인사가 진제국의 수립과 전개에 미친 영향에 대한 이해 ‣최근 간독자료에 나타난 진시황제의 죽음과 관련된 새로운 사실에 대한 이해 URL
비디오 진시황제와 그의 시대(윤재석) 3 ‣현대 중국의 원형으로서 진제국의 위상에 대한 이해 ‣정치`경제`사회적 측면에서 진제국의 내부 구조 이해 ‣진제국의 유지 원리를 ‘도광양회’ ‘정보의 장악’ ‘인사정책’의 측면에서 이해 ‣진시황제의 개인사가 진제국의 수립과 전개에 미친 영향에 대한 이해 ‣최근 간독자료에 나타난 진시황제의 죽음과 관련된 새로운 사실에 대한 이해 URL
비디오 진시황제와 그의 시대(윤재석) 4 ‣현대 중국의 원형으로서 진제국의 위상에 대한 이해 ‣정치`경제`사회적 측면에서 진제국의 내부 구조 이해 ‣진제국의 유지 원리를 ‘도광양회’ ‘정보의 장악’ ‘인사정책’의 측면에서 이해 ‣진시황제의 개인사가 진제국의 수립과 전개에 미친 영향에 대한 이해 ‣최근 간독자료에 나타난 진시황제의 죽음과 관련된 새로운 사실에 대한 이해 URL
비디오 진한(帝國)의법률과 통치(임중혁) 진한 제국의 법률과 통치/商鞅변법과 진제국의 통일 및 진한시대 죄수의 세계 전국시대 초기 후진국이었던 秦이 상앙변법을 통하여 강대국으로 성장하고, 드디어 진시황의 통일로 연계되는 과정 진한시대 형벌의 종류, 유작자의 형벌감면의 특권, 죄수의 범죄시 가중처벌의 원칙, 그리고 각종 죄수의 차별적인 대우에 대한 설명 URL
비디오 徒隸의 형기(임중혁) 진한시대, 특히 前漢 文帝 13년 이전의 형도의 형기가 존재하였는지 여부에 관한 설명이다. 文帝 이전에는 형도의 형기가 존재하지 않았고, 동시에 그들은 노예로서 매매되었기 때문에 徒隸로 불리고 있음을 언급. URL
비디오 耐刑과 형도 규모의 조절(임중혁) 耐刑이 진한시대 형벌제도에서 가지고 있는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隸臣妾 이상의 刑徒는 매매되고 있으므로 국가의 백성을 감소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耐刑을 부과하여 백성이 필요 이상으로 徒隸로 전락하지 않게 하기 위한 배려가 내포되어 있음을 설명. URL
비디오 庶人의 의미(임중혁) 사면을 내리면 곧바로 자유인이 되는 것이 아니라, 復作으로서 일정기간 석방이 유예되며, 그 이후에야 庶人이 된다. 庶人은 일반 백성의 의미가 아니라 죄수 출신에게만 붙여지는 진한시대의 독특한 용어이다. 또한 진한시대의 작제는 모두 士伍로 수렴하고 있는 원칙을 설명. URL

연관 자료

loading..

사용자 의견

강의 평가를 위해서는 로그인 해주세요. 로그인팝업

이용방법

  • 플래쉬 유형 강의 이용시 필요한 프로그램 [바로가기]


    ※ 강의별로 교수님의 사정에 따라 전체 차시 중 일부 차시만 공개되는 경우가 있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이용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