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로고스와 뮈토스의 개념과 의미
|
로고스와 뮈토스를 이해한다. |
|
2. |
|
신화와 자아의 관계
|
신화와 자아의 관계를 파악한다 |
|
3. |
|
신화, 인간의 일상에 스며들다 - 인간과 신의 연결점, 신화와 의례
|
의례의 의미를 파악하고, 신화와 의례의 관계를 살펴본다. |
|
4. |
|
햇빛에 바래면 역사가 되고, 달빛에 물들면 신화가 된다 - 역사와 신화의 관련성과 신화연구사
|
신화의 특징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신화에 반영된 우주기원, 인류기원, 문화기원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본다. 또한, 신화적 세계에 대한 인간의 인식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알아본다. |
|
5. |
|
신화의 세계관- 창세신화로 보는 여러 나라의 세계관
|
세계 각국의 창세신화에 관해 살펴본다. 신화 스토리텔링에 대해 알아본다. |
|
6. |
|
전쟁을 바라보는 신화의 눈
|
절대자의 권위와 정당성을 확보하는 이야기 장치, 인간세계의 격동, 대변화와 신의 관계에 대해 알아본다. |
|
7. |
|
영웅과 반영웅
|
영웅이 견뎌야 할 13가지 시련을 살펴보고, 반영웅의 현재적 의미를 이해한다. |
|
8. |
|
신화 속의 여성, 여성 안의 신화
|
그리스 신화 중 여신들의 지위와 그에 대한 인식, 신화가 여성을 보는 극단적인 시각들을 살펴보고, 사회적 구조와의 관계 속에서 이해한다. |
|
9. |
|
신화와 사랑
|
신화 속 사랑을 통해 신들의 비도덕적 사랑의 원인, 그리스인들의 양성애관을 살펴본다. 또, 그리스신화의 사랑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생각해 본다. |
|
10. |
|
신화와 예술, 그리스인의 신화관과 신성이야기
|
신화를 통해 그리스 사람들이 신을 어떤 존재로 인식했는지 알아보고, 신에 대한 인식이 미술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알아본다. |
|
11. |
|
신화의 이야기가치
|
신화의 화소와 이야기가치, 문화콘텐츠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다. |
|
12. |
|
신화의 재해석과 활용
|
신화와 예술, 신화의 가치, 신화의 모티프와 대중문화, 신화의 OSMU에 관해 알아본다. |
|
13. |
|
신화의 가치확산을 위하여
|
신화를 활용한 콘텐츠 사례를 살펴본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