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해상운송
|
해상운송계약(Contract of Carriage by Sea)은 당사자의 일방이 상대방에 대하여 선박에 의한 물건의 해상운송을 인수하고 상대방(송하인 또는 용선자)은 이에 대하여 보수를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로써 성립하는 계약이다. |
|
2. |
|
해상운임
|
해상운임(Freight)은 선박에 의한 화물의 운송에 대하여 지불되는 보수이며, 자유경쟁 하에서의 재화와 마찬가지로 선복(Ship’s Space)에 대한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결정된다. |
|
3. |
|
용선운송
|
선주가 선복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하여 운송하는 용선계약에 대하여 학습한다. |
|
4. |
|
정박기간, 선내하역비
|
용선의 정박기간과 선내하역비에 대하여 학습한다. |
|
5. |
|
선하증권
|
해상운송의 증거이자 권리증권인 선하증권에 대하여 학습한다. |
|
6. |
|
선하증권의 위기
|
선박은 양륙항에 도착하였으나 선하증권이 수화인에게 도착하지 않음 |
|
7. |
|
헤이그 규칙
|
선하증권에 관한 법규의 통일을 위한 국제협약 |
|
8. |
|
헤이그 규칙
|
헤이그규칙의 해상운송인의 화물에 관한 손해배상의 책임의 기본원칙은 과실책임원칙으로 하고 있다. |
|
9. |
|
헤이그 비스비규칙
|
헤이그규칙의 개정인 헤이그비스비규칙을 학습한다. |
|
10. |
|
함부르크규칙
|
함부르크규칙은 책임의 균형을 송하인으로부터 운송인에게 이동시켜 운송인의 책임이 대폭 강화하고운송인의 책임의 한도를 상향조정하고 컨테이너 화물의 포장단위당 가액 한도를 해결하였다.
선주국 및 선사들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지 못하여 실패한 국제법규인 함부르크 규칙을 학습한다. |
|
11. |
|
해상화물운송장
|
해상화물운송장과 전자선하증권에 대하여 학습한다. |
|
12. |
|
해상운송과 무역실무
|
해상운송과 관련된 무역실무를 학습 |
|
13. |
|
해상운송과 해상보험
|
해상운송과 관련된 해상보험 이론을 학습한다. |
|
14. |
|
컨테이너
|
국제운송의 규격화를 가능하게 한 컨테이너에 대하여 학습한다. |
|
15. |
|
국제복합운송
|
여러가지 운송수단을 이용하는 복합운송에 대하여 학습. |
|
|
|
MT 조약
|
UNCTAD가 제정한 국제복합운송에 있어서 운송인의 책임을 규율한 국제조약 |
|
|
|
복합운송증권에 관한 통일규칙
|
실제로 실무에서 적용하고 있는 복합운송증권 규칙을 학습한다. |
|
|
|
항공운송
|
항공기의 항복(plane’s space)에 여객과 화물을 탑재하고 국내외 공항에서 공로를 통하여 다른 공항까지 운항하는 최근대식 운송시스템 |
|
|
|
도로, 철도 운송
|
육상운송수단인 도로운송과 철도운송에 대해서 학습한다. |
|
|
|
로테르담규칙1
|
로테르담규칙은 CMI(국제해사위원회)가 초안을 작성하고, 화주 측의 이익뿐만 아니라 운송인 측의 이익도 대변하여 UNCITRAL(유엔국제무역법위원회)과 CMI는 새로운 국제운송 법규이다. |
|
|
|
로테르담규칙2
|
로테르담의 주요내용을 학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