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모두를 위한 열린 강좌 KOCW

주메뉴

  • 주제분류
    인문과학 >인문과학기타 >일본학
  • 강의학기
    2017년 1학기
  • 조회수
    2,994
  •  
강의계획서
강의계획서
일본과 한국의 민속문화의 원류를 동아시아적인 차원으로 조명하는 내용이다. 일본문화와 한국문화에 대한 단일민족론적 접근을 지양해서 두 문화의 복합성과 공통성에 초점을 맞춘내용. 문화인류학, 민속학, 종교학의 기존의 연구성과로 구성되어 있는데 기초지식이 없어도 수강가능. 강의 및 질의응답이 일본어로 진행됨

차시별 강의

PDF VIDEO SWF AUDIO DOC AX
1. 문서 계통연구와 패러다임(1) 한국과 일본의 학계는 서로 인종적·문화적으로 계통관계가 없다고 하는 패러다임 속에서 자국문화를 연구해 왔다. 일본 학계는 '배타적인 민족주의'나 '일선동조론이 남긴 후유증」과 같은 왜곡된 인식에 제약받았으며 그것이 정상적 연구를 진행시키는 데 장해물로 작용해 왔다. URL
2. 문서 계통연구와 패러다임(2) 일본과 한국 사이에 명확한 문화전파 현상이 확인되었어도 혈연관계를 부정하며 어떤 사람은 한반도에서의 이주 없이 문화를 수용했다고 해석하고, 어떤 사람은 일본인의 선조가 중앙 아시아에서 한반도를 뛰어넘어 일본열도에 진출했다고 해석하였다. URL
3. 문서 일본인의 한반도 도래설(1) 일선동조론에 포함되어 있는 한국인과 일본인의 사이에 계통관계가 있다는 '사실적 명제'와 한국인이 일본인에게 동화되어야 한다는 '당위적 명제'는 분리해서 고찰해야 한다는 문제의식 아래 한일합병전에 제창된 일본인종의 한반도 도래설을 검토한다. URL
4. 문서 일본인의 한반도 도래설(2) 사실적 명제'로서의 일본인의 한반도 도래설은, 그것이 처음으로 제기 된지 300년이 지난 현재도 해결 되지 못한 과제로 남아 있다. 이것이 국가 정체성과 결부되어 있는 한, 정치적 논리에서 자유롭기 어렵다. URL
5. 문서 현대인류학자의 일본인 기원설(1) 이 교육내용은 대표적인 현대자연인류학자의 저서나 인터뷰를 통해, 일선동조론의 후유증을 위하여 그들의 가슴 속에 한국인을 기피하는 의식이 여전히 남아 있는지를 세대별, 연구 분야별에 조사하는 것이다. URL
6. 문서 현대인류학자의 일본인 기원설(2) 현시점에서 인류유전학자라 할지라도 잠재 의식 차원에서는 한국인을 기피하는 관념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과연 현대 한국인과 일본인의 DNA 일치는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진지하게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URL
7. 문서 한일민족문화의 원류로서의 남방계 문화(1) 그동안 일본 학계에서는 자국의 기층문화에 포함되어 있는 남방계 문화에 관해서 많은 연구가 일으어졌다. 남방 지역과의 관련성을 강조해야 할 시대적 상황이 있을 때는 문화전파 뿐만 아니라 민족이동도 인정했고 남방계 문화를 강조하는 학설이 구축되었다. 반대로 남방 지역과의 관련성을 강조할 필요가 없거나 부정해야 할 상황이 있을 때는 민족이동을 부정하여 문화전파 차원에서 학설을 구축하였다. URL
8. 문서 한일민족문화의 원류로서의 남방계 문화(2) 오늘날 민족문화의 기원을 둘러싸는 다양한 요건이 바뀌고 있다. 동남아시아와의 인적교류가 증가하고 그들과의 공존은 한국과 일본의 공통 과제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남방계 문화의 이해나 공감의 조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져 남방민족과의 문화적·인종적 계통연구가 촉진될 개연성이 높아지고 있다. URL
9. 문서 동아시아인의 정체성과 남방계 문화 동북아시아 공동체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행하여지고 있는 가운데, 정치·경제뿐만 아니라 구성원의 정체성에 관한 논의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효과적인 정체성 조성을 위한 전략으로서 공동체구성원들에게 '초국가'·'국가'·'지역'이라고 하는 3가지 수준의 정체성을 가지도록 하고 집단 간의 충돌을 완화시키는 방안이 생각할 수 있다. URL
10. 문서 동아시아의 영혼관과 한국의 유교 사자의례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발달한 미개사회의 복장(複葬)에 내포되어 있는 상징구조가 고대 중국의 사자의례를 거쳐 한국의 상·제례까지 계승된 것을 제시함으로써 유교식 사자의례와 그 근원으로서의 복장과의 관련성을 고찰하게 한다. URL
11. 문서 동아시아의 영혼관과 일본의 불교사자의례 일본의 추선공양(追善供養)의 기원을 동아시아의 기층문화에 포함되어 있는 복장(複葬)에서 추구하고 양자가 상징적인 대응 관계를 고찰하는 것으로 불교사자의례에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가설을 제시한다. URL
12. 문서 추석과 봉(盆)의 계통관계 그동안 경시되어 온 한국의 추석과 일본의 봉(盆)의 계통관계에 대해서 양자의 계통과 변질과정에 관한 새로운 시각을 고찰한다. 일본의 봉에 포함되어 있는 조령제(祖靈祭)의 기원이 한반도에서 이주한 사람들의 추석에 있었다. URL

연관 자료

loading..

사용자 의견

강의 평가를 위해서는 로그인 해주세요. 로그인팝업

이용방법

  • 문서 자료 이용시 필요한 프로그램 [바로가기]

    ※ 강의별로 교수님의 사정에 따라 전체 차시 중 일부 차시만 공개되는 경우가 있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이용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