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오리엔테이션 | (1)커리큘럼의 어원과 정의 (2)교과 중심 커리 vs. 경험중심 커리 비교 | ||
오리엔테이션 | (1)커리큘럼의 어원과 정의 (2)교과 중심 커리 vs. 경험중심 커리 비교 | |||
2. | 한국교회의 교육과정 개발 현황 | 한국의 주요 4개 교단의 교재 비교 | ||
한국교회의 교육과정 개발 현황 | 한국의 주요 4개 교단의 교재 비교 | |||
한국교회의 교육과정 개발 현황 | 한국의 주요 4개 교단의 교재 비교 | |||
한국교회의 교육과정 개발 현황 | 한국의 주요 4개 교단의 교재 비교 | |||
3. | 기독교 역사를 통해 본 교육과정 | (1)고대교회의 세례준비 교육과정 (2)종교개혁기의 교육과정 (3)루터와 칼빈의 카테시즘 (4)주일학교 운동 이후의 교육과정: 통일공과와 계단공과 | ||
기독교 역사를 통해 본 교육과정 | (1)고대교회의 세례준비 교육과정 (2)종교개혁기의 교육과정 (3)루터와 칼빈의 카테시즘 (4)주일학교 운동 이후의 교육과정: 통일공과와 계단공과 | |||
4. | 교육과정 유형 Ⅰ | (1)전통적 교육과정 지향 | ||
교육과정 유형 Ⅰ | (1)전통적 교육과정 지향 | |||
5. | 교육과정 유형 Ⅱ | (2)기술적-성취 중심적 교육과정 | ||
교육과정 유형 Ⅱ | (2)기술적-성취 중심적 교육과정 | |||
6. | 교육과정 유형 Ⅲ | (3)구성주의 교육과정 지향 | ||
교육과정 유형 Ⅲ | (3)구성주의 교육과정 지향 | |||
교육과정 유형 Ⅲ | (3)구성주의 교육과정 지향 | |||
교육과정 유형 Ⅳ | (4)기독교적 교육과정 지향 | |||
8. | 교회학교 교재 집필의 원리 Ⅰ | (1)교육목적과 학습목표 | ||
교회학교 교재 집필의 원리 Ⅰ | (1)교육목적과 학습목표 | |||
9. | 교회학교 교재 집필의 원리 Ⅱ | (2)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성경 본문의 선정과 해석) | ||
교회학교 교재 집필의 원리 Ⅱ | (2)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성경 본문의 선정과 해석) | |||
교회학교 교재 집필의 원리 Ⅱ | (2)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성경 본문의 선정과 해석) | |||
10. | 교회학교 교재 집필의 원리 Ⅲ | (3)학습자의 사회-심리학적 이해 | ||
교회학교 교재 집필의 원리 Ⅲ | (3)학습자의 사회-심리학적 이해 | |||
11. | 모의교재 작성 웍샵(1) | 주제 작성법 | ||
모의교재 작성 웍샵(1) | 주제 작성법 | |||
모의교재 작성 웍샵(1) | 주제 작성법 | |||
12. | 모의교재 작성 웍샵(2) | 이야기식 본문 작성 | ||
모의교재 작성 웍샵(2) | 이야기식 본문 작성 | |||
13. | 교회학교 교재 집필의 원리(IV)+(V) | (4)교수-학습의 과정과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 (5)교육평가 | ||
교회학교 교재 집필의 원리(IV)+(V) | (4)교수-학습의 과정과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 (5)교육평가 | |||
교회학교 교재 집필의 원리(IV)+(V) | (4)교수-학습의 과정과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 (5)교육평가 |